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2

노루고기 [장육(獐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오장을 보하고 혈맥(血脈)을 순조롭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몸이 허약하여 여위고 쇠약해진 증상, 해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노루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노루고기(장육:獐肉)의 기원과 특성아시아에 서식하는 사슴과 노루 속의 한 종 노루(Capreolus pygargus Pallas)의 고기를 말한다. 유럽노루와 구분해서 시베리아노루라고도 한다.유럽노루(C. capreolus)의 아종으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취급하는데 한국에 서식하는 노루는 그 아종인 C. pygargus sub. tianschanius 이다.사슴과 비슷하나 뿔이 수컷에게만 있으며 짧고 세 개의 가지가 있는데, 뿔은 1세에 나기 시작하여 3.. 2025. 3. 29.
거위고기 [아육(鵝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옹종을 제거하며 피부의 균열을 치료하고 기운을 보하며 허약한 몸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위를 편하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신체허약, 권태감, 진액부족, 몸이 마른 당뇨 등에 좋은 거위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거위고기(아육:鵝肉)의 기원과 특성 거위(Anser domestica Geese)는 가축화된 기러기를 말한다. 중국 거위는 개리(Anser cygnoides)를, 유럽 거위는 회색기러기(Anser anser)를 가금화한 것으로 한국에 전래된 과정은 정확하지 않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820년 신라의 거위를 일본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고, 일본에서는 약 1,500년 전.. 2025. 3. 27.
오골계 [오골계(烏骨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간과 신을 보하고 보기양혈(補氣養血)하며 허열을 물리치고 허로(虛癆)와 소갈을 치료하며, 중풍으로 말을 못 하는 것과 풍한습사로 인한 결림 즉 류머티즘과 부인병을 치료하는 오골계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오골계(烏骨鷄)의 기원과 특성오골계의 기원이 명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그 기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지역이 중국이다. 동남아시아에서의 오골계에 대한 언급도 있다. 마르코 폴로는 오골계에 대해 최초로 기록하였는데 13세기에 아시아 여행 기간 중 이 닭에 대해 기술하였다.현재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육하고 있는 “오골계(烏骨鷄 : Gallus gallus var. domestticus Brisson)”는 닭의 한 품종으로, 한국에 도입된 정확한 .. 2025. 3. 25.
개 [구육(狗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자양강장 및 병후 회복을 위한 중요한 식재 또는 약재로 취급되었고, 보신(補腎), 익정(益情), 장양(壯陽)의 효능이 있는 개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인류사에서 수많은 동물들이 인간과 교류하고, 더러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밖에도 방범이나 가축의 보호견, 장애인을 돕는 안내견, 사고현장의 탐색견, 군견, 마약 탐지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특히 개의 경우는 최근 식용금지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정도로 민감한 동물로서 본 블로그 게시를 많이 고민하게 하였다. 그만큼 인간과 친밀한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 생각하고 함께 하는 가정이 많아졌으며, 다른 동물과 달리 “애완동물”의 범위를 넘어 “반려동물”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 2025. 3. 23.
물고기의 이름을 붙이는 원칙 블로그에 본초학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생활약초탐구"라는 꼭지로 연재를 하면서 이번 주까지 어패류를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독자들로부터 들어온 질문이 "물고기의 이름을 보면 '어'자로 끝나는 것과 '치'자로 끝나는 것이 있는데 이에 대한 기준은 무엇인가?"라는 것이었다. 함께 알아본다.1. 물고기의 이름김창일박사(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에 따르면, 국립수산과학원 "한국어도보"에 나오는 물고기 이름을 살펴보면 '치'로 끝나는 물고기는 18.23%, '어'로 끝나는 물고기는 16.4%로서 이 둘을 합하면 34.6% 정도에 달한다.이 외에 '리'로 끝나는 것(도다리, 벤자리 등 약 10%), '기'로 끝나는 것(참조기, 놀래기 등 7.8%), '돔'으로 끝나는 것(참돔, 옥돔, 감성동 등 7.5%), .. 2025. 3. 22.
홍어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청열해독(淸熱解毒)하고 거담(祛痰), 소염(消炎) 작용이 강하며, 강장(强壯) 작용이 있고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하며 습열(濕熱)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는 홍어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홍어의 기원과 특성1-1. 홍어의 기원홍어목 홍어과에 속하는 물고기 참홍어(Raja pulchra)이다.몸은 위아래로 납작하고, 가슴지느러미가 넓게 발달해 있어 위에서 보면 마름모꼴이다. 몸길이 약 150㎝이다. 몸 빛깔은 등 쪽이 갈색이고 배 쪽은 희거나 회색이다. 몸의 등 중앙선에 많은 가시가 있고, 난생이며 20~80m의 깊은 곳에 살며 봄에 산란한다. 홍어를 삭히게 되면 톡 쏘는 냄새가 나는데 이것은 고기가 부패해서 나는 냄새가 아니라 세균이 부패되어 나는.. 2025. 3. 21.
기침에 좋은 식약재 체질에 맞게 고르기 기침이 심하면 참으로 괴롭다. 가래나 콧물, 코막힘을 동반하기도 하고, 때로는 심한 기침은 반듯하게 누워 잠을 이룰 수도 없을 정도로 힘들게 한다. 이러한 기침의 원인을 체질별로 알아보고, 각각의 체질마다 기침에 좋은 식재와 약재를 알아본다.1. 기침의 종류전통 동양의학 이론에 따르면 기침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외감성기침'과 '내상성기침'이 바로 그것이다."외감성기침'이란 바람(풍사:風邪) 또는 찬 기운(한사:寒邪)에 손상되어 나타나는 기침을 말하며, '내상성기침'이란 체내 오운육기의 손상에 의해서 나타나는 기침을 말한다. 2. 내상성 기침의 분류1) 폐허(肺虛)로 오는 기침말 그대로 폐의 기운이 약해서 오는 기침으로서 주로 '간대폐소(肝大肺小)'한 장부의 특징으로 호흡기가 약한 태음.. 2025.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