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옹종을 제거하며 피부의 균열을 치료하고 기운을 보하며 허약한 몸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위를 편하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신체허약, 권태감, 진액부족, 몸이 마른 당뇨 등에 좋은 거위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거위고기(아육:鵝肉)의 기원과 특성
거위(Anser domestica Geese)는 가축화된 기러기를 말한다. 중국 거위는 개리(Anser cygnoides)를, 유럽 거위는 회색기러기(Anser anser)를 가금화한 것으로 한국에 전래된 과정은 정확하지 않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820년 신라의 거위를 일본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고, 일본에서는 약 1,500년 전에 거위를 길렀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전어지(佃漁誌)』에는 거위의 사육법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거위는 귀신을 놀라게 한다. 거위는 능히 도둑을 놀라게 하고 뱀을 물리친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거위는 낯선 사람을 보면 울기 때문에,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거위를 집을 지키는 데에 썼다. 가안(家鴈), 백아(白鵝), 서안(舒雁)으로도 불리며 고기는 아육(鵝肉)으로 부른다.

2. 거위고기(아육:鵝肉) 성미, 귀경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성질이 시원하다고도 한다. 닭과 오리, 거위는 우리가 가장 많이 먹는 가금류로 이 세 종류를 비교하면 기운을 보하고 허약한 체질은 튼튼하게 하는 작용은 같은데 맛은 거위와 닭이 비슷하고 오리는 진하다. 성질은 닭은 따뜻하고 오리는 차며 거위는 중간이다. 거위의 부족한 부분은 기미(氣味)가 두꺼워 발풍발양(發風發㾗) 식품이란 것이다. 『개보본초(開寶本草)』에는 성질이 약간 차다고 하였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며 독이 없다고 하였다.
폐, 간, 비 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거위고기(아육:鵝肉)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지방, 회분, 칼슘, 인 등을 가지고 있으며 비타민 A는 없다. 비타민(B1, B2, C)을 함유하고 지방분은 주로 올레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을 함유한다.
4. 거위고기(아육:鵝肉) 효능·효과와 이용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옹종(擁腫)을 제거하며 피부의 균열을 치료한다. 기운을 보하고 허약한 몸을 튼튼하게 하며 위를 편하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한다.
5. 거위고기(아육:鵝肉) 주치와 응용
신체가 허약하고 영양불량인 사람이나 비위가 약한 사람 또는 권태감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며 진액이 부족하여 몸이 마른 당뇨 환자나 목이 마르고 건조하거나 입이 마른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
6. 거위고기(아육:鵝肉)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거위에 산약(山藥)을 배합하면 생진지갈(生津止渴) 작용이 있어 몸이 마른 당뇨 환자에 좋다.
7. 거위고기(아육:鵝肉)의 이용과 조리 사례
거위 1마리, 황기 30g, 당삼 30g, 산약 30g을 넣고 끓여 먹는 <거위탕>은 중기가 부족하고 기운이 없고 권태감이 있으며 음식을 적게 먹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거위육 125g, 쌀 100g, 대파, 생강, 소금을 넣고 죽을 끓여 먹는 <거위죽>은 허약한 체질을 튼튼하게 하고 양음(養陰), 지갈(止渴) 작용이 있다.
거위 1마리에 황기, 당삼, 산약, 대추 각 30g을 넣고 탕을 끓인 <거위보중탕>은 보중익기(補中益氣) 작용이 강하며 비위가 허약하거나 기운이 없고 권태감이 있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거위육 350g, 사삼과 산약 30g을 넣고 탕을 끓인 <거위 사삼 산약탕>은 폐를 윤택하게 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비위를 튼튼하게 하며 진액을 만들고 기운을 내며 신장에 이롭다. 거위 250g, 동과 200g을 넣고 탕을 끓인 <거위동과탕>은 허약한 체질을 보하고 이뇨작용이 있다.
8. 거위고기(아육:鵝肉)를 먹을 때 주의 사항
습사(濕邪)와 열사(熱邪)가 있는 사람은 먹지 않아야 한다. 발물식품(發物食品) 즉 오래된 만성병을 재발하게 하고 새로운 병을 심하게 만드는 식품으로서, 원고성 질환 즉 임파결핵, 암, 홍반성 낭창, 우피선, 만성습진, 옹창 등이 있는 사람은 좋지 않다. 거위육은 달고 기름지고 느끼하므로 열을 돕고 습을 돕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체질이 습담(濕痰)이 많고 비대하며 설태(舌苔)가 지저분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소화불량인 사람들은 적게 먹어야 한다.
그리고 담낭염, 담결석, 지방간,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 있는 사람도 좋지 않다. 『맹선(孟詵)』에 따르면 거위고기를 많이 먹으면 곽란에 잘 걸리며 고질병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또 거위와 감을 함께 먹으면 거위는 단백질이 풍부한 데 감의 타닌과 결합하면 위에서 소화하기 힘든 물질을 만드는데 이물질 덩어리가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하고 심하면 장을 막아 위험하게 만든다. 이것은 마치 꽃게를 먹고 감을 먹는 경우와 유사한 부작용이다.
9. 마무리
낯선 사람을 보면 끝까지 따라오며 소리를 질러대는 거위는 전통적으로 집을 지키는 가금(家禽)으로 키워 왔는데, 『지봉유설(芝峯類說)』에 나오는 “거위는 귀신을 놀라게 한다.”라든지 “거위는 능히 도둑을 놀라게 하고 또 능히 뱀을 물리친다.”는 기록과 일맥 상통한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 [계(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31 |
---|---|
노루고기 [장육(獐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9 |
오골계 [오골계(烏骨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5 |
개 [구육(狗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3 |
홍어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