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약초 탐구283 오소리고기 [환육(䝔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중초를 튼튼하게 하고 비위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는 고기와 보중익기(補中益氣), 소종해독(消腫解毒), 윤조(潤燥)의 효능이 있는 기름을 사용하는 오소리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오소리고기의 기원과 특성족제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식성 포유동물 오소리(Meles meles L.)의 고기이다. 중국 송대(宋代)의 『본초도경(本草圖經)』에 환(獾) 또는 구환(狗獾)이라고 처음으로 기술하고 있다.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고기를 약으로 사용한다고 기술하였으며, 근대 이후에는 그 지방(기름)을 채취하여 환유(獾油)라 하여 약용하고 있다. 연중 언제나 포획하여 기름을 채취하고 약한 불로 기름을 제련하여 단.. 2025. 4. 14. 오리고기 [압육(鴨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고대부터 명약으로 애용하던 동물로 소화기계통을 튼튼히 하여 허약체질을 튼튼하게 하고 수액 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수종을 없애며, 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해독 작용이 강한 오리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오리고기의 기원과 특성오리는 오리과의 새 중에서 고니나 기러기 등을 제외한 몸집이 작은 새들의 총칭으로 원동물은 청둥오리다.청둥오리는 집오리의 원종으로 몸길이는 52㎝(암컷)∼60㎝(수컷) 정도이다. 수컷은 머리와 목이 광택 있는 짙은 녹색이고 흰색의 가는 목테가 있다. 윗가슴은 짙은 갈색이다. 꽁지깃은 흰색이지만 가운데 꽁지깃만은 검은색이며 위로 말려 올라갔다. 부리는 노란색인데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진다. 다리는 선명한 오렌지색이다.집오리는 .. 2025. 4. 12. 양고기 [양육(羊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익기(益氣), 보허(補虛)하고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며 완하(緩下)하는 효능과 신장을 보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식욕을 돋우고 살찌며 허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해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양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양고기의 기원과 특성양(羊)은 소과에 속하는 산양(Capra hircus L.) 또는 면양(Ovis aries L.)의 고기이다. 기원전 8000~6000년경에 서아시아에서 가축화가 시작되어 현재는 품종이 1000여 종에 이른다. 털(양모), 고기, 젖, 모피 등을 얻기 위하여 사육한다.『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에는 산양이나 면양의 젖인 “양유(羊乳)”와 그 고기인 “양육(羊肉)”이 수재 되어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 2025. 4. 10. 소고기 [우육(牛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보비위(補脾胃), 익기혈(益氣血), 강근골(强筋骨)하여 신체 허약한 사람에게 적합하며 영양불량, 기혈부족에 좋고 빈혈이 있거나 성장발육에 좋으며 면역력을 높이고 병 후 회복에 좋은 소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소고기의 기원과 특성소는 소과(科) 동물, 소속(屬)에 속한 초식동물 황우(Bos taurus domesticus Gmelin) 또는 수우(Bubalus bubalis L.)의 고기이다. 집짐승의 하나이다. 소는 사람에게 개 다음으로 일찍부터 가축화되어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아 세계 각지에서 사육되고 있다. 소가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7000~6000년경으로,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에서 사육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동서로 퍼지게 되었다고 추정.. 2025. 4. 8. 사슴 [녹(鹿)]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오장을 보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여 인삼과 함께 대표적인 보약재로 알려진 사슴에 대하여 그 부위별로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사슴의 기원과 특성사슴은 사슴과(Cervidae) 동물의 총칭으로, 포유강 소목의 한 과이다. 일반적으로 사슴이라고 불리는 동물 외에도 노루, 순록, 사불상 등이 사슴과에 포함된다. 한반도에는 백두산사슴(와파티사슴의 만주아종 : Cervus elaphus xanthopygus), 대륙사슴(꽃사슴, 일본사슴 : Cervus nippon hortulorum),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등 4종이 서식한다.옛날부터 사람들은 사슴을 잡.. 2025. 4. 6. 비둘기 [합(鴿), 구(鳩)]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간(肝)과 신(腎)의 기운을 튼튼하게 하고 기혈을 보하며 풍사(風邪)를 제거하고 해독(解毒)하는 작용이 있으며 특히 여성들의 생리를 조절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지통(止痛) 작용이 있는 비둘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비둘기(합:鴿)의 기원과 특성비둘기는 비둘기목 비둘기과를 이루는 289종의 새들의 총칭으로 그 고기 또는 전체를 쓰며 알도 약용한다.흔히 ‘비둘기’라고 부르는 비둘기는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 Gmelin)”와 “야생비둘기(C. livia Gmelin)”으로 나누는데, 야생비둘기로는 “산비둘기”(도시의 녹지대에서도 삶), “흑비둘기” 등이 있다. “집비둘기”는 야생종인 “바위비둘기(C. rupestri.. 2025. 4. 4. 돼지고기 [저육(猪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보신(補腎), 자음(滋陰), 윤조(潤燥), 익기(益氣), 양혈(養血), 소종(消腫)하는 효능이 있어서 오장을 보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자음(滋陰) 작용이 강한 돼지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돼지고기(돈육:豚肉)의 기원과 특성 멧돼지(Sus scrofa)를 가축화한 돼지(Sus scrofa domesticus L.) 또는 집돼지의 고기이다.돈육(豚肉), 저육(豬肉) 등으로도 불린다.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는 쓸개인 “저담(猪膽)”의 기원으로 멧돼지와 돼지를 수재하고 있다.『식료본초(食療本草)』에서는 처음으로 멧돼지의 쓸개를 “야저담(野猪膽)”이라고 기술하였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제51권 수부(獸部)의 야저(野豬) 항.. 2025. 4. 2. 이전 1 2 3 4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