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9 비둘기 [합(鴿), 구(鳩)]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간(肝)과 신(腎)의 기운을 튼튼하게 하고 기혈을 보하며 풍사(風邪)를 제거하고 해독(解毒)하는 작용이 있으며 특히 여성들의 생리를 조절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지통(止痛) 작용이 있는 비둘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비둘기(합:鴿)의 기원과 특성비둘기는 비둘기목 비둘기과를 이루는 289종의 새들의 총칭으로 그 고기 또는 전체를 쓰며 알도 약용한다.흔히 ‘비둘기’라고 부르는 비둘기는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 Gmelin)”와 “야생비둘기(C. livia Gmelin)”으로 나누는데, 야생비둘기로는 “산비둘기”(도시의 녹지대에서도 삶), “흑비둘기” 등이 있다. “집비둘기”는 야생종인 “바위비둘기(C. rupestri.. 2025. 4. 4. 돼지고기 [저육(猪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보신(補腎), 자음(滋陰), 윤조(潤燥), 익기(益氣), 양혈(養血), 소종(消腫)하는 효능이 있어서 오장을 보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자음(滋陰) 작용이 강한 돼지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돼지고기(돈육:豚肉)의 기원과 특성 멧돼지(Sus scrofa)를 가축화한 돼지(Sus scrofa domesticus L.) 또는 집돼지의 고기이다.돈육(豚肉), 저육(豬肉) 등으로도 불린다.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는 쓸개인 “저담(猪膽)”의 기원으로 멧돼지와 돼지를 수재하고 있다.『식료본초(食療本草)』에서는 처음으로 멧돼지의 쓸개를 “야저담(野猪膽)”이라고 기술하였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제51권 수부(獸部)의 야저(野豬) 항.. 2025. 4. 2. 체질별 위장병의 증상과 좋은 약재 및 처방 당연한 말이지만 위장병은 그 증상이 다양하고, 치료하는 약재나 처방도 달라야 한다. 따라서 위장병을 치료하는 약재나 처방을 체질에 따라 골라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체질에 따라 최적의 위장병 치료약재를 알아본다.1. 태음인의 위장병1) 태음인의 위장병 증상태음인은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고 그에 따라 노폐물의 배출이 잘 되지 않는 체질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태음인이 위장병에 걸리면 위장에 어혈이 축적된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가슴이 쓰리고 윗배가 찌르는 듯 아프며 아픈 곳이 일정하고 타는듯한 느낌이 심해서 손대는 것을 싫어한다. 심하면 통증과 함께 배가 팽창하는 듯한 느낌이 온다. 때로는 검붉은 색의 피를 토하거나 검붉은 색의 대변을 보기도 한다.2) 태음인의 위장병에 좋은 식약재a) 좋은 약재 : .. 2025. 4. 1. 닭 [계(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온중익기(溫中益氣)하고 보정첨수(補精添水)하는 효능이 있어 체허소수(體虛消瘦), 식욕부진(食慾不振), 복사(腹瀉), 하리(下痢), 소변빈삭(小便頻數: 오줌을 자주 보는 것), 소갈(消渴), 붕루(崩漏), 대하(帶下) 등을 다스리는 닭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닭(계:鷄)의 기원과 특성 닭(Galllus gallus domesticus Brisson)은 닭목 꿩과의 새이다. 고기와 알을 얻기 위해 사육하는 가축에 속한다. 『Firefly Encyclopedia of Birds』에 따르면 2003년 현재 지구상에 240억 마리 이상의 닭이 존재하며 다른 어떤 조류보다 더 수효가 많다.『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는 닭의 모래주머니 내부 껍질.. 2025. 3. 31. 노루고기 [장육(獐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오장을 보하고 혈맥(血脈)을 순조롭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몸이 허약하여 여위고 쇠약해진 증상, 해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노루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노루고기(장육:獐肉)의 기원과 특성아시아에 서식하는 사슴과 노루 속의 한 종 노루(Capreolus pygargus Pallas)의 고기를 말한다. 유럽노루와 구분해서 시베리아노루라고도 한다.유럽노루(C. capreolus)의 아종으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취급하는데 한국에 서식하는 노루는 그 아종인 C. pygargus sub. tianschanius 이다.사슴과 비슷하나 뿔이 수컷에게만 있으며 짧고 세 개의 가지가 있는데, 뿔은 1세에 나기 시작하여 3.. 2025. 3. 29. 거위고기 [아육(鵝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옹종을 제거하며 피부의 균열을 치료하고 기운을 보하며 허약한 몸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위를 편하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신체허약, 권태감, 진액부족, 몸이 마른 당뇨 등에 좋은 거위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거위고기(아육:鵝肉)의 기원과 특성 거위(Anser domestica Geese)는 가축화된 기러기를 말한다. 중국 거위는 개리(Anser cygnoides)를, 유럽 거위는 회색기러기(Anser anser)를 가금화한 것으로 한국에 전래된 과정은 정확하지 않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820년 신라의 거위를 일본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고, 일본에서는 약 1,500년 전.. 2025. 3. 27. 오골계 [오골계(烏骨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간과 신을 보하고 보기양혈(補氣養血)하며 허열을 물리치고 허로(虛癆)와 소갈을 치료하며, 중풍으로 말을 못 하는 것과 풍한습사로 인한 결림 즉 류머티즘과 부인병을 치료하는 오골계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오골계(烏骨鷄)의 기원과 특성오골계의 기원이 명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그 기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지역이 중국이다. 동남아시아에서의 오골계에 대한 언급도 있다. 마르코 폴로는 오골계에 대해 최초로 기록하였는데 13세기에 아시아 여행 기간 중 이 닭에 대해 기술하였다.현재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육하고 있는 “오골계(烏骨鷄 : Gallus gallus var. domestticus Brisson)”는 닭의 한 품종으로, 한국에 도입된 정확한 .. 2025. 3. 25. 이전 1 2 3 4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