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補腎), 자음(滋陰), 윤조(潤燥), 익기(益氣), 양혈(養血), 소종(消腫)하는 효능이 있어서 오장을 보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자음(滋陰) 작용이 강한 돼지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돼지고기(돈육:豚肉)의 기원과 특성
멧돼지(Sus scrofa)를 가축화한 돼지(Sus scrofa domesticus L.) 또는 집돼지의 고기이다.
돈육(豚肉), 저육(豬肉) 등으로도 불린다.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는 쓸개인 “저담(猪膽)”의 기원으로 멧돼지와 돼지를 수재하고 있다.
『식료본초(食療本草)』에서는 처음으로 멧돼지의 쓸개를 “야저담(野猪膽)”이라고 기술하였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제51권 수부(獸部)의 야저(野豬) 항에서 설명하였다. 종합적으로 저담(猪膽)과 야저담(野猪膽)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저담(猪膽)과 야저담(野猪膽)의 구분
구분 | 저담(猪膽) | 야저담(野猪膽) |
기원(起源) | 집돼지(Sus scrofa domesticus L.) | 멧돼지(Sus scrofa) |
성미(性味) | 함(鹹), 고(苦), 한(寒) | 산(酸), 고(苦), 한(寒), 무독(無毒) |
귀경(歸經) | 간(肝), 담(膽), 폐(肺), 대장(大腸) | 간(肝), 폐(肺) |
효능(效能) | 청열해독(淸熱解毒), 건위(健胃), 이담(利膽), 지해(止咳) | 청열해독(淸熱解毒) |
응용(應用) | 창절(瘡癤), 표저(瘭疽:생인손, 등창),황달성간염,위염,백일해 | 창독(瘡毒), 표저(瘭疽), 화상(火傷), 소변불통, 산후허약 |
출처(出處) | 명의별록 | 식료본초, 본초강목 |
2. 돼지고기(돈육:豚肉)의 성미, 귀경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약간 차다.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註)』에는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평하다고 하였고,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수퇘지 고기의 맛은 시고 성질은 냉하다고 하였으며, 『본초비요(本草備要)』에는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고 하였다.
비, 위, 신 경락으로 작용한다. 『뇌공포제약성해(雷公炮製藥性解)』에는 간경(肝經)으로, 『본초구진(本草求眞)』에는 비, 위 경락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3. 돼지고기(돈육:豚肉)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칼슘, 인, 철 등을 함유한다.
4. 돼지고기(돈육:豚肉)의 효능·효과와 이용
오장을 보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자음(滋陰) 작용이 강하다.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해독하는 작용이 있다. [보신(補腎), 자음(滋陰), 윤조(潤燥), 익기(益氣), 양혈(養血), 소종(消腫)]
5. 돼지고기(돈육:豚肉)의 주치와 응용
음허(陰虛) 체질이나 음액(陰液)이 부족한 사람에게 적합하며 열병 후에 진액이 마른 사람이나 대변이 건조하고 마른기침을 하는 사람에게 효과가 좋다. 또한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인한 갱년기 종합증, 건조 종합증, 몸이 마른 당뇨에 도움이 된다. 돼지 족발은 출산 후 모유가 적은 사람에게 좋다.
돼지의 부위별 특성과 이용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심장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평하고 심(心) 경락으로 들어가며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심장이 허약하고 땀이 많이 나며 자주 놀라고 무서워하며 꿈이 많고 불면증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연구 보고에 의하면 돼지 심장은 심근육에 영양을 공급하며 수축력을 증강시키는 작용이 있어 기능성 혹은 신경성 심장질환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2) 돼지 간(肝)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간(肝) 경락으로 들어간다. 혈액을 보하고 간을 튼튼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기혈이 허약하거나 얼굴색이 누렇고 철 결핍성 빈혈에 도움이 되며 간혈 부족으로 인해 눈앞이 어지럽고 야맹증이 있거나 안구건조증이 있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으며 암으로 화학치료 후 식용하면 좋다. 단 돼지고기는 산 닭이나 참새고기, 어류와 동시에 섭취하면 좋지 않다.
3) 돼지 신장(腎臟)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며 신(腎) 경락으로 들어간다. 신장의 기를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며 신장이 허약한 중노인들에게 적합하다. 두충과 가장 잘 어울린다.
4) 돼지 위(胃)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비(脾), 위(胃) 경락으로 들어간다.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허약한 증상을 보하는 작용이 강하여 비위 허약으로 인한 식욕부진, 복통설사에 좋으며 중초의 기운이 부족한 사람이나 소변을 자주 보며 유정이나 여성들의 냉이 많은 경우에 적합하다.
5) 돼지 대장(大腸)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며 대장(大腸) 경락으로 들어가며 대장질환을 치료한다. 변혈, 치질, 이질, 탈장 등에 효과가 있다.
6) 돼지 폐(肺)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폐(肺) 경락으로 들어가며 폐를 보하는 효능이 있다. 폐기(肺氣) 허약으로 인한 폐기종, 폐결핵, 천식, 폐위축증에 도움이 된다.
6. 돼지고기(돈육:豚肉)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가지를 배합하면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호박을 배합하면 돼지고기는 자윤(滋潤) 작용을 하며 호박은 혈당을 낮추고, 죽순을 배합하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무를 배합하면 돼지고기의 소화 흡수에 유리하고, 레몬을 배합하면 돼지고기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며, 콩나물을 배합하면 체력이 약하거나 소화불량, 식욕부진 환자에게 효과적이고, 마늘을 배합하면 비타민 B1과 영양소의 흡수를 증강시킨다.
다시마를 배합하면 피부소양증에 좋고, 산사를 배합하면 어혈을 풀어 멍을 빨리 없애는 효과가 있어 넘어지거나 다쳐서 멍든 데 좋으며, 배추를 배합하면 음을 보하여 신체를 윤택하게 하며 보혈 작용이 있어 빈혈이나 변비에 효과가 있다.
동과를 배합하면 각종 영양소와 미량원소들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버섯을 배합하면 영양소 흡수를 증가시키고 가래가 많거나 복통설사에 좋으며, 돼지 신장과 목이버섯을 배합하면 오랜 병으로 체력이 저하된 사람이나 신장이 약한 사람에게 보조치료 작용을 하고, 돼지 위와 콩나물을 배합하면 식욕을 증진시키고 비위를 조절하며 피부미용에 도움이 된다.
돼지 위와 연자육(蓮子肉)을 배합하면 영양불량인 사람이나 기혈 양허인 사람에게 보익 작용이 강해지고, 돼지 위와 찹쌀을 배합하면 속을 편하게 하고 기운을 만들어 어린이 영양보충에 좋으며, 돼지 간과 시금치를 배합하면 철 결핍성 빈혈을 치료하며 시금치 속에는 여러 가지 비타민이나 미량원소가 들어 있어 동시에 섭취하면 영양을 고르게 섭취할 수 있다.
돼지 간과 배추를 배합하면 영양물질의 흡수를 돕고, 깻잎을 배합하면 눈이 침침하고 어지럼증 등에 효과적이며 청열해독 작용이 강하게 되며, 돼지 간과 시금치를 배합하면 영양소를 서로 보충하고 보혈 작용을 한다. 또 돼지 간과 파를 배합하면 영양소의 흡수를 돕고, 돼지 간과 부추를 배합하면 영양소의 흡수를 도우며, 돼지 간과 국화를 배합하면 열을 내리고 간을 도와 눈을 밝게 한다.
7. 돼지고기(돈육:豚肉)의 이용과 조리 사례
껍질이 있는 삼겹살(또는 구이용 돼지고기)을 갈근, 당귀, 감초, 청미래, 삼백초, 마늘, 간장, 설탕, 베트남 고춧가루, 올리고당으로 밑간 양념을 해서 구워 먹는 <돼지삼겹살 그릴구이>를 추천한다. 또 돼지고기 50g, 동과 100g, 소금, 생강을 넣고 탕을 끓인 <돼지고기동과탕>은 청열해서(淸熱解暑) 작용이 있으며 여름철 목이 마르거나 소변이 노랗게 나오는 등 더위 먹었을 때 효과가 있고, 돼지고기 30g, 검정콩 30g, 밀 30g을 넣고 탕을 끓여 먹는 <돼지고기흑두탕>은 양음보기(養陰補氣) 작용이 있고 땀을 멈추게 하며, 돼지고기 500g을 넣고 탕을 끓여 먹는 <돼지고기증액탕>은 양음자액(養陰滋液), 윤조(潤燥) 작용이 있어 몸이 마른 사람에게 좋은 음식이다.
일부 종교적 이유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나라를 제외하고, 돼지고기는 다양한 조리법이 연구 개발된 재료이다.
8. 돼지고기(돈육:豚肉)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돼지고기는 함께 배합할 수 없는 금기 식품이 많다. 도라지, 매실, 아욱, 생선회, 잉어, 메추라기, 메밀, 초두, 소고기, 자라, 감초 등은 함께 먹어서는 안 되고(특히 메밀은 함께 먹으면 풍을 일으키므로 위험하다), 또한 돼지고기는 습열이 많거나 담이 많고 체질이 뚱뚱한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고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환자는 많이 먹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풍한감기 초기에는 좋지 않으며 완고성(頑固性) 질병 즉 암, 홍반성 낭창, 임파결핵, 피부습진, 우피선 등이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돼지고기와 차를 배합하면 차에 함유된 생물활성물질이 장에서 지방을 흡수하는 데 영향을 끼쳐 변비를 유발한다. 또 돼지고기와 팥을 배합하면 기체가 되어 배가 더부룩해지고, 돼지고기와 양(羊)의 간(肝)을 배합하면 기체(氣滯)가 생기고 가슴이 답답해지며, 돼지고기와 새우를 배합하면 정기가 소모되어 건강에 불리하고, 돼지고기와 우렁이를 배합하면 위나 장의 기능을 상하게 하고 머리가 빠진다.
돼지고기와 연어를 배합하면 동시에 섭취하면 불량 반응이 일어나고, 돼지 간과 잉어를 배합하면 잉어의 생물활성물질이 돼지 간의 영양소와 결합하여 영양가를 낮추고 복통 설사 또는 종기가 생길 수 있고, 돼지 간과 붕어를 배합하면 붕어의 생물활성물질이 돼지 간의 영양소와 결합하여 영양가를 낮추고 복통 설사 또는 종기가 생길 수 있다. 돼지 간과 참새고기를 배합하면 상화를 일으키고 돼지 간에 있는 구리, 철분, 아연 등 미량원소가 참새의 단백질을 파괴시켜 영양가를 낮춘다.
돼지 간과 콜리플라워를 배합하면 인체의 미량원소의 흡수를 저하시키고, 돼지 간과 비타민 C가 많은 식품 즉 배추, 셀러리, 브로콜리, 토마토 등을 동시에 섭취하면 돼지 간의 구리, 철분 등의 미량원소가 비타민 C를 파괴하며, 돼지 위와 두부를 동시에 섭취하면 건강에 불리하고, 돼지 위와 알로에를 배합하면 돼지고기는 보하고 알로에는 사해서 효능이 약해진다.
9. 마무리
일반적으로 이슬람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율법에 따라 불결한 음식이기 때문이라는 설이 지배적인데, 구약성서 레위기에도 돼지고기를 금하는 율법이 있다.
대체적인 설은 다른 초식동물들이 4개의 위를 가지고 되새김을 하는 데 반하여 통 위를 가지고 있는 동물들과 비늘이 없는 물고기를 금하고 있는데, 여기에 기인한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슴 [녹(鹿)]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4.06 |
---|---|
비둘기 [합(鴿), 구(鳩)]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4.04 |
닭 [계(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31 |
노루고기 [장육(獐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9 |
거위고기 [아육(鵝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