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을 보하고 혈맥(血脈)을 순조롭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몸이 허약하여 여위고 쇠약해진 증상, 해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는 노루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노루고기(장육:獐肉)의 기원과 특성
아시아에 서식하는 사슴과 노루 속의 한 종 노루(Capreolus pygargus Pallas)의 고기를 말한다. 유럽노루와 구분해서 시베리아노루라고도 한다.
유럽노루(C. capreolus)의 아종으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취급하는데 한국에 서식하는 노루는 그 아종인 C. pygargus sub. tianschanius 이다.
사슴과 비슷하나 뿔이 수컷에게만 있으며 짧고 세 개의 가지가 있는데, 뿔은 1세에 나기 시작하여 3세가 되면 가지가 나기 시작한다. 노루의 뿔은 포각(狍角), 각질화되지 않은 뿔은 포용(狍茸)이라고 하여 각각 약용하며, 폐(肺) 또한 약용한다.
몸빛은 여름에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겨울에는 점토색을 나타내는데 겨울털에는 엉덩이에 큰 흰색 반점이 있다.
초식성으로 수명은 10〜12년이며 높은 산림지대, 계곡, 들판에 서식한다. 다리 근육이 발달하여 한번에 7미터 이상 뛸 수 있으며 시속 80㎞로 달릴 수 있다.
성체의 체중은 50㎏에 달하며,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2. 노루고기(장육:獐肉)의 성미, 귀경
노루고기의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오장에 두루 작용한다.
노루의 뿔은 짜고 따뜻하며 간과 신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노루고기(장육:獐肉)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지방, 회분, 칼슘, 인 등을 가지고 있으며 비타민 A는 없다. 비타민(B1, B2, C)을 함유하고 지방분은 주로 올레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을 함유한다.
용(茸) 및 각(角)에는 대량의 콜라겐, 펩티드류, 아미노산, 황산연골소, 칼슘(Ca), 인(P), 철(Fe), 마그네슘(Mg), 구리(Cu) 등이 함유되어 있다.
4. 노루고기(장육:獐肉)의 효능·효과와 이용
오장을 보하고 혈맥(血脈)을 순조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겨울철에 탈락된 뿔은 채취하여 약용하며 포용(狍茸)의 채취와 제조 방법은 녹용(鹿茸)과 대체로 같다.
노루의 뿔은 배농(排膿), 산결(散結),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다.
5. 노루고기(장육:獐肉)의 주치와 응용
몸이 허약하여 여위고 쇠약해진 증상, 해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노루의 뿔은 외상(外傷), 옹종(擁腫), 신염(腎炎) 등을 치료한다.
신염(腎炎)을 치료하는 데는 포각(狍角)을 가루로 만들어 하루 2회 5g 씩을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한다. 월경과다를 치료할 때는 노루의 피를 삶아 덩어리로 만들어 햇볕에 말린 후 가루로 만들어 하루 2회 5g 씩을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한다.
6. 노루고기(장육:獐肉)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노루고기는 삶아서 복용한다.
7. 노루고기(장육:獐肉)의 이용과 조리 사례
보통 삶아서 고기로 많이 먹고, 탕을 끓여서 먹는다.
8. 노루고기(장육:獐肉)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노루고기를 새우, 상추, 매화 열매(매실), 오얏(자두)과 같이 먹으면 병이 생기므로 주의한다.
9. 마무리
한국의 전통 사물놀이에 등장하는 장구는 장고(杖鼓)라고도 하지만, 장구(獐狗)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장구통을 감싸고 있는 가죽을 한쪽에는 노루의 가죽을, 다른 한쪽은 개의 가죽을 씌워서 만들었다는 데서 기인하는 설이 있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 [저육(猪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1) | 2025.04.02 |
---|---|
닭 [계(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31 |
거위고기 [아육(鵝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7 |
오골계 [오골계(烏骨鷄)]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5 |
개 [구육(狗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