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8

콩나물 [대두황권(大豆黃卷)]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숙취와 피로 회복의 대명사로 불리며, 피부미용, 변비, 해열, 뇌의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콩나물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콩나물(大豆黃卷)의 기원과 특성1-1. 콩나물(大豆黃卷)의 기원쌍떡잎식물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인 콩(Glycine max (L.) Merr.)을 싹 티워 키운 것이며, 전통적으로는 검정콩(서목태)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검정콩의 깍지가 제대로 골라내지 않았을 경우 깔끔하지 못하다 하여 식용 콩나물은 노란콩을 많이 이용한다.전통 동양의학에서는 대두황권(大豆黃卷)이라 하여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수록된 중요한 약재이며, 한국의 공정서로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 되어 있다.보통 봄과 가.. 2024. 8. 10.
청경채 [청경채(靑梗菜), 백채(白菜)]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폐의 열을 식히고 기침을 멎게 하며, 갈증을 멈추는 효능이 있고 알레르기성비염, 기관지염, 감기, 점막 출혈, 두피 트러블, 생리통, 부종, 만성 습관성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청경채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청경채(靑梗菜)의 기원과 특성1-1. 청경채(靑梗菜)의 기원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에 속하는 청경채(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L.)이다. 배추의 한 종류이며, 원산지는 중국 화중 지방으로 알려져 있다. 특별한 맛이나 향은 없고 매우 연하다. 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수재 되어 있지 않고, 중국에서는 B. chinensis L.를 청채(靑菜), 숭채(菘菜), 백채(白菜) 등의 이름으로 식용 또는 약용한다... 2024. 8. 8.
죽순[죽순(竹筍)]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폐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이며, 번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없애주며, 대소변을 잘 보게 해 주며 두드러기나 발진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어 식재나 약재로 요긴하게 사용하는 죽순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죽순(竹筍)의 기원과 특성1-1. 죽순(竹筍)의 기원벼과에 속하는 왕대[Phyllostachys reticulata (Rupr.) K. Koch]의 새로 나오는 순을 이용한다. 다수의 문헌에 인용된 학명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는 국생종에서는 이명(異名)이라고 하였다.대나무나 조릿대의 잎은 죽엽(竹葉), 대나무의 외피를 제거한 중간층의 껍질을 긁은 것은 죽여(竹茹), 열매는 죽실(竹實)이라고 .. 2024. 8. 6.
유채 [ 운대(蕓薹), 운대자(蕓薹子)]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허리와 다리가 결리고 아픈 증상, 출산 후 혈체(血滯)가 되거나 복통이 있을 때, 개화기에는 관광식물로, 종자는 기름을 짜서 식용으로도 애용하는 유채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유채(蕓薹,蕓薹子)의 기원과 특성1-1. 유채(蕓薹,蕓薹子)의 기원십자화과에 속하는 1~2년생 초본 식물 유채(Brasica napus L.)의 어린 줄기와 잎을 말하며, 종자는 운대자(蕓薹子)라 하여 약용 또는 식용(기름)한다. ‘평지’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유채의 학명을 문헌에 따라서 각기 “B. campestris L. ssp. napus Hook. fil. et Anders var. pekinensis Makino” 또는 “B. campestris L. ssp. .. 2024. 8. 4.
우엉 [우방자(牛蒡子), 우방근(牛蒡根)]의 특성 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주로 종자를 풍열 감기나 두풍, 두통, 피부 가려움증에 사용하고, 뿌리를 김밥말이 재료나 차 재료로 많이 이용하는 우엉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우엉(牛蒡子, 牛蒡根)의 기원과 특성1-1. 우엉(牛蒡子, 牛蒡根)의 기원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우엉(Arctium lappa L.)이다. 뿌리는 우방근(牛蒡根), 종자는 우방자(牛蒡子), 잎과 줄기는 우방경엽(牛蒡莖葉)이라 하여 각각 식용 또는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우방엽(牛蒡葉), 대부엽(大夫葉), 방옹채(蒡翁菜)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대한민국약전』에 우방자(牛蒡子)가 수재 되어 있고,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우방근(牛蒡根)이 수재 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우방자는 『본초도경(本草圖經).. 2024. 8. 2.
오이 [황과(黃瓜)]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열매를 다양한 용도의 식재로 사용하고, 뿌리와 잎, 줄기도 약용하는 오이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1. 오이(黃瓜)의 기원과 특성1-1. 오이(黃瓜)의 기원박과 오이 속에 속하는 1년생 덩굴성 식물 오이(Cucumis sativus L.)의 열매이다. 인도의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로서 최근에는 온실재배를 통하여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 한국의 공정서에는 수록되어있지 않고 『본초습유(本草拾遺)』에 수재 되어 있다. 『천금방(千金方), 식치문(食治門)』에는 호과(胡瓜)로, 『전남본초(滇南本草)』에는 왕과(王瓜)로, 『식물명도고(植物名圖考)』에는 자과(刺瓜)로 수재 되어 있다.원산지는 인도 서북부 히말라야 지방과 네팔로 알려져 있고 지중해 연안을 거쳐 유.. 2024. 7. 31.
제주 관광 산업 이대로 좋을까? (그래도 희망을) 뜻있는 분들이 모이면 하는 얘기다. 한국의 물가가 너무 높다고도 하고, 제주도를 가느니 동남아시아 국가로 나가게 되는 이유가 있다느니, 무엇이 문제일까? 가뜩이나 경제난에 힘들어하는데, 숙소와 음식 그리고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중심으로 그 속내를 한번 들여다보자. 1. 제주 여행의 시작여행의 시작은 어디에서 시작될까?관점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여행을 하면서 첫 번째로 느끼는 것은 역시 숙소의 문제다.깨끗하고, 편리하고, 안전하고, 저렴한 조건들을 갖추고 있다면 좋은 숙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물론 부가적인 편의시설 같은 것도 빼놓을 수 없겠지만, 위와 같은 조건들이 숙소의 필수조건으로 볼 때  제주도의 숙소는 어느 정도의 수준일까?지금까지 필자의 경험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갈수록 가성비가 떨어지는.. 2024.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