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전복 [석결명(石決明)]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5. 3. 3.

평간잠양(平肝潛陽), 해열명목(解熱明目), 통림(通淋), 지혈(止血), 최유(催乳), 골증조열(骨蒸潮熱), 색맹(色盲) 등에 효능이 있는 전복(석결명)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전복[석결명(石決明)]의 기원과 특성

1-1. 전복[석결명(石決明)]의 기원

전복(Haliotis gigantea L.)은 전복과(Haliotidae), 전복속(Haliotis)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이다. 대표 종은 귀조개(H. gigantea L.)이다. 전복은 무늬가 깊고 검은색이 나는 것이 좋다.

생식선을 보고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데 암컷은 생식선이 노란색으로서 맛이 좀 더 좋고, 수컷은 초록색이다. 늦봄부터 초여름까지의 전복이 가장 맛이 좋다. 포어(鮑魚), 구공포(九孔鮑), 복어(鰒魚), 명목어(明目魚) 등으로도 불린다. 석결명(石決明)은 전복의 고기를 발라내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씻어 말린 껍질을 약재로 사용하는 것인데, 보통 구멍이 아홉 개 있는 것을 최상품으로 친다. 전복의 고기는 석결명육(石決明肉)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말전복과 동속근연동물, 오분자기 등을 기원으로 하는 “석결명(石決明)”이 수재 되어 있다.

1-2. 전복의 분류

전복의 껍질을 약재로 사용하는 석결명(石決明)은 다양한 이명(異名)을 가지는데, 『뇌공포자론(雷公炮炙論)』에는 진주모(眞珠母)라 하였고, 도홍경(陶泓景)은 복어갑(鰒魚甲)이라고 하였으며,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는 구공라(九孔螺),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석결명(石決明)이라 기록하고 일명 천리광(千里光) 또는 구공라(九孔螺) 등으로 수록하고 있다.

『자산어보(慈山魚譜)』에는 전복 복(鰒) 자를(鰒) 써서 “복어(鰒魚)”라고 기록하고 있다.

원동물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분류하는데, 조가비가 대형으로 짧고 넓으며 귀 모양으로 되어있는 “반대포(盤大鮑 : H. gigantea L.)”와 체외에 단단하고 두꺼운 조가비가 있으며 타원형인 “구공포(九孔鮑 : H. diversicolor Reeve)” 등이 있다.

1-3. 전복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반대포(盤大鮑 : H. gigantea L.)

조가비는 대형으로 짧고 넓으며 귀 모양으로 되어있다. 나륵의 돌기와 작은 구멍은 전부 30개 정도이며 말단의 4〜5개는 특히 구멍이 크게 뚫려 있다. 껍데기의 표면에는 항상 석회층과 이끼벌레가 착생하고 있다. 각구는 달걀 모양이고 외순(外脣)은 얇고 가장자리가 칼날 모양이며 내순(內脣)은 조금 두껍고 각구의 내측으로부터 뻗어 있으며 상단은 비교적 넓고 기부는 약간 좁고 조각 모양의 차양을 이루고 있다. 고기도 약용한다.

구공포(九孔鮑 : H. diversicolor Reeve)

체외에 단단하고 두꺼운 조가비가 있으며 타원형이다. 나선부위는 매우 작고 나탑(螺塔)은 3개이며 봉합선은 얕다. 몸의 나선층은 매우 넓고 크며 조가비의 거의 전체를 차지한다. 조가비의 윗부분은 무딘 모양이고 나선층의 조가비 면보다 조금 높다. 제 2 나탑의 한가운데서 시작되어 나선층의 가장자리까지 30개 이상의 1열로 배열된 돌기와 작은 구멍이 있다. 앞끝의 돌기는 작고 선명하지 않지만 말단의 8〜9개는 특히 크고 구멍이 서로 통해 있다.

 

옛날부터 식용해 오던 주요 수산물의 하나로 얕은 바다에서 어획하는데, 양식도 많이 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를 생산하여 양식어민에게 분양하고 있다.

한국에는 한류성인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과 난류성인 까막전복(H. discus discus), 말전복(H. gigantea), 왕전복(H.madaka), 오분자기(H. diversicolor diversicolor), 마대오분자기(H. diversicolor supertexta) 등의 6종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전복은 그 특유의 식감과 맛으로 인하여 고기를 식용으로 하는데 그 수요가 많아 상당 부분 양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남과 경남 남해안에서 주로 양식을 하는데 다시마, 미역, 감태, 파래 등의 해조류를 먹이로 이용하며, 완도 전복이 유명하다.

전복(석결명) - 한국(유통)
전복(석결명) - 한국(유통)

2. 전복의 성미, 귀경

전복의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는 성질이 시원하다고 하였으며 『촉본초(蜀本草)』에는 성질이 차다고 하였다.

간, 신 경락으로 들어간다.

3. 전복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A, B1, B2, B6, B12, E, PP), 회분, 칼슘, 인, 철, 구리, 요오드 등을 함유하고 담즙산, 글루타민산 등도 함유한다.

반대포(盤大鮑)의 조가비에는 탄산칼슘이 90% 이상이고, 유기질이 약 3.67% 들어있으며 소량의 마그네슘, 철, 규산염, 인산염, 염화물과 미량의 요오드를 함유한다.

석결명은 깨끗이 씻어서 건조한 다음 분쇄한다.

4. 전복의 효능·효과와 이용

간을 다스리고 간의 양기가 지나치게 성하여 일어나는 것을 가라앉히는 평간잠양(平肝潛陽), 신장의 풍을 진정시키고, 해열(解熱)하여 눈을 밝게 하며(명목 明目), 오줌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통림 通淋), 출혈을 멈추게 하는 지혈(止血) 효능이 있으며 모유를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5. 전복의 주치와 응용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증상, 뼛속의 골수를 불로 끓이는 것처럼 아픈 통증이 조수처럼 밀려오는 골증조열(骨症潮熱)을 다스린다. 또한 녹색 색맹(色盲)과 위산과다, 임질, 토혈(吐血) 등을 치료한다.

잘 말려 가루 낸 전복껍데기12〜40g에 물을 붓고 달여서 하루에 마신다. 환제(丸劑) 또는 산제(散劑)로 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6. 전복과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국화, 구기자, 당귀, 백작 등을 함께 사용하면 머리와 눈이 어지러운 두목현훈(頭目眩暈)에 효과가 있고, 대황, 몰약과 함께 사용하면 급성결막염에 효과적이다. 갑오징어의 뼈, 창출, 주사와 함께 사용하면 소아감적에 효과적이고, 쇠고기를 함께 먹으면 자양강장 효능이 높아진다. 잣과 배합하면 스태미나가 증진되고, 냉이와 배합하면 눈이 밝아지며, 참깨와 배합하면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린다. 또 마늘과 배합하면 신진대사가 원활해지고 치자와 배합하면 불면증을 다스리고 식욕을 살린다.

7. 전복의 이용과 조리 사례

전복, 청주, 참기름, 간장, 마늘, 생강, 식초 등을 재료로 하는 <전복 초찜>을 추천한다. 전복은 그 기능성과 더불어 맛 또한 독특하여 병후 회복을 위하여 가정에서 많이 끓여 먹는 <전복죽>이 유명하며, 횟감으로도 많이 사랑받는다.

전복육 90g, 당귀 90g, 아교 120g, 계란 3개로 탕을 끓여 부인들의 하혈에 효과가 있는 <전복탕>, 전복 500g, 구기자 24g, 국화 12g, 육수 250g, 간장, 생강, 조미료를 넣고 탕을 끓여 먹으면 보익간신, 평간명목 작용으로 각종 안과 질환에 효과가 있는 <전복둔기국>, 전복 100g, 메추리알 100g, 간장 5g, 소금 2g, 설탕 2g, 황주 5g, 대파 1개, 생강 2편, 닭고기 육수 250g, 참기름 250g, 물전분 10g, 후추 1g을 넣고 탕을 만들어 먹으면 만성신염, 폐결핵, 빈혈, 생리불순, 변비, 노인성 요실금 등에 효과가 있는 <전복메추리알>, 보간익정명목 작용으로 눈이 침침하거나 사물이 겹쳐 보이고 눈이 건조하여 꺼칠한 증상에 효과가 있는 <전복결명탕>, 산후 모유가 부족할 때 효과가 있는 <전복갱> 등도 추천한다.

근래에는 삼계탕에 전복을 넣은 <전복삼계탕>을 많이 먹는데, 전복의 시원한 성질이 삼계탕의 열성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8. 전복을 먹을 때 주의 사항

전복은 청보식품으로 특별한 주의 사항이 없으나 육질이 단단하여 소화가 어렵다. 따라서 췌장이 약한 사람은 부드러운 죽으로 먹으면 좋다. 또 속이 찬 환자는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 전복의 간, 내장에는 감광(感光) 기능이 있는 색소가 있어 사람이 이를 복용한 후 햇빛을 쪼이면 피부에 발열(發熱), 침자(侵恣), 발양(勃壤), 수종(水腫) 및 피부궤양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선복화(旋覆花)와는 상극(相剋)이며 운모(雲母)와는 상반(相反)되므로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9. 마무리

전통적으로 보양식의 대표음식 중의 하나로 귀하게 대접받던 전복은 특히 기력을 회복하는데 민간에서 많이 이용하던 식재이자 약재다.

뿐만 아니라 전복껍데기는 석결명(石決明)이라 하여(石決明) 귀한 약재로 사용하였고, 껍데기를 잘 가공하여 한국의 전통 문화재인 나전칠기의 원료로도 사용하였다. 요즘은 양식업이 잘 발달되어 서민들도 쉽게 먹을 수 있는 식재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