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병어 [창어(鯧魚)]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5. 2. 9.

기와 혈을 보해주고, 비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 기능을 도와주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병어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병어의 기원과 특성

1-1. 병어의 기원

병어(Pampus argenteus Euphrasen)는 농어목 병어과의 바닷물고기이다. 무리 지어 행동하는 생태적 특성이 군인들의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병사 병(兵) 자를(兵) 붙여 병어(兵魚)라고도 하는데 한자어로는 창어(鯧魚)라 하며, 영문명은 silver pomfret 또는 white pomfret이다.

한국의 한의약공정서에는 수재 되어 있지 않다. 『본초습유(本草拾遺)』에 처음으로 창어(鯧魚)라고 기술하였으며 창후어(昌侯魚)라고도 한다.

1-2. 병어의 분류

병어는 『본초습유(本草拾遺)』에 창어(鯧魚)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 제44권 인부(鱗部)의 3항에 “창어(鯧魚)는 모양이 즉어(鯽魚:붕어)와 비슷하고 몸을 건실하게 하고 기력을 돕는다.”라고 하였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에는 본초강목과 더불어 현재 중국 민간에서 사용 정황을 근거로 소개하고 있다.

한국에는 병어 속 어류가 3종이 있는데, “병어”, “덕대”, “중국병어” 등이다.

1-3. 병어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병어는 몸이 납작하며 청색과 은색을 띤다. 무리 지어 생활하며 지방분이 적어 맛이 담백한 흰살생선으로 비린내가 나지 않아 인기가 좋다.

큰 것은 몸길이 60㎝에 달하여 둥그스름한 마름모꼴의 몸 형태를 하고 있다. 청색을 띤 은색으로 금속광택이 있으며 등 쪽에 푸른빛을 띤 은백색에 온몸에 벗겨지기 쉬운 잔 비늘이 있다. 주둥이는 뭉툭하고 양턱에 아주 작은 이가 있으며, 머리 바로 뒷부분에 물결무늬가 있다.

병어는 대륙붕의 수심 100m 이내 바닥이 진흙으로 된 연안에 많다. 산란기는 4∼8월이며, 연안의 수심 10∼20m인 모래바닥에 알을 낳는다. 한국의 남해와 서해, 일본의 중부 이남, 동중국해와 인도양 등지에 분포한다.

병어 - 한국산(유통)
병어 - 한국산(유통)

2. 병어의 성미, 귀경

병어의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심, 비 경락으로 작용한다.

3. 병어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지방분은 적고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며 칼륨, 인 칼슘 등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비타민 또한 풍부하다.

 

<표 1> 병어의 영양성분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에너지
(Kcal)
수분
(%)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소
(g)
회분
(g)
병어 122 75.9 17.8 5.0 0 0 1.3

 

<표 2> 병어의 무기질(mineral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무기질(minerals)
칼슘
(mg)

(mg)

(mg)
나트륨
(mg)
칼륨
(mg)
병어 33 189 1.3 158 360

 

<표 3> 병어의 비타민(vitamin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비타민(vitamins)
베타카로틴
()
B1
(mg)
B2
(mg)
나이아신
(mg)
C
(mg)
병어 0 0.32 0.09 3.2 1

 

4. 병어의 효능·효과와 이용

병어는 전체를 약으로 사용하는데 사계절 언제나 포획할 수 있으며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보관한다. “덕대”와 “중국병어”도 함께 약용할 수 있다.

병어는 기를 더하고 혈을 길러주는 익기양혈(益氣養血),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견근건골(堅筋健骨)의 효능이 있다.

5. 병어의 주치와 응용

병어는 비위가 허약한 사람, 소화불량, 근골이 쑤시고 아픈 증상, 사지가 마비되는 증상 등에 좋다.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에 따르면 위(胃)를 보양하며 혈(血)을 보익하고 정(精)을 보충한다.

6. 병어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병어에 귤피를 배합하면 소화를 돕고 당귀를 배합하면 근육과 뼈에 좋다.

비위허약이나 소화불량에는 병어 2마리에 백출(白朮) 15g, 진피(陳皮) 10g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근골이 쑤시고 아픈 근골산통이나 사지마비에는 병어 2마리에 당귀(當歸) 15g, 신근초(伸筋草) 50g을 넣고 물에 달여 하루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7. 병어의 이용과 조리 사례

병어, 다진 양념,, 미나리, 무채 등을 이용한 <병어찜>, <병어찌게> 등이 대표적이다. 무나 감자를 두툼하게 잘라 바닥에 깔고 잘 손질한 병어를 올린 다음 고춧가루와 가진 양념을 버무린 것을 위에 끼얹어 조린 <병어조림> 또한 일품이다. 병어를 구워 양념장에 찍어먹는 <병어구이> 또한 추천한다. 신선한 것은 회를 떠서 먹기도 하는데 피부를 덮고 있는 하얀 비늘을 잘 제거해야 한다.

8. 병어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본초습유(本草拾遺)』에는 “알에는 독이 있어 설사나 이질을 일으키므로 주의하여야 한다.”라고 하였고,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에는 “많이 먹으면 풍을 일으킨다.”라고 하였다.

9. 마무리

지방분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하여 담백한 맛을 자랑하며, 잔가시가 적어서 먹기도 좋은 병어는 소화력을 돕고, 기혈을 보하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귀한 식품이자 약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