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붕어 [즉어(鯽魚)]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5. 2. 11.

비(脾)의 기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다스리며 당뇨와 심한 허리통증, 소변을 잘 내보내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소화작용을 돕는 붕어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붕어의 기원과 특성

1-1. 붕어의 기원

잉어과의 담수 물고기 붕어(Carassius auratus L.)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붕어의 학명을 Carassius auratus로 구분하지 않고 뭉뚱그려 Carassius carassius L.로 쓰기도 한다.

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수록되지 않았고, 『명의별록(名醫別錄)』에 처음으로 즉어(鯽魚)라고 기술하였는데 “여러 가지 창(瘡)을 치료하며 태워서 장즙(醬汁)으로 반죽하여 바르거나 저지(豬脂) 즉 돼지기름으로 달여서 사용하며 장옹(腸癰)을 치료하기도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본초습유(本草拾遺)』, 『전남본초(滇南本草)』등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에는 예전의 본초서와 현재 응용하고 있는 내용을 근거로 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1-2. 붕어의 분류

붕어는 『명의별록(名醫別錄)』에 즉어(鯽魚)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부(鮒), 또는 부어(鮒魚)라는 이명(異名)으로도 불린다.

붕어의 각 부위 별로 그 뇌(腦)는 “즉어뇌(鯽魚腦)”, 쓸개는 “즉어담(鯽魚膽)”, 뼈는 “즉어골(鯽魚骨)”, 머리는 “즉어두(鯽魚頭)”, 알은 “즉어자(鯽魚子)”라고 하여 각각 약용한다.

1-3. 붕어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모든 하천에서 볼 수 있다. 몸은 폭이 넓고 옆으로 납작하며, 커다란 비늘이 겹쳐진 기와처럼 배열되어 있다. 주둥이 끝이 둥글며, 입은 주둥이 끝의 약간 아래쪽에 있고 입가에 수염은 없다(잉어는 수염이 있다). 눈은 머리의 옆면에 중앙에서 약간 앞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옆줄은 완전하고 직선에 가깝다. 붕어는 호수, 늪, 하천 등에 널리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갑각류, 실지렁이, 수서곤충을 비롯한 작은 동물들과 식물의 씨, 잎, 줄기 등 거의 모든 유기물을 먹는다. 붕어는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큰 물고기 중의 하나로서 수질 오염에 강한 편이며, 약 1~3급수의 담수 하천에서 볼 수 있다.

붕어 - by pixabay
붕어 - by pixabay

2. 붕어의 성미, 귀경

붕어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혹은 따뜻)하다. 비, 위, 대장 경락에 작용한다.

3. 붕어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칼슘, 인 등을 다량 함유하고 비타민(B1, B2, B6, B12, A1, A2), 나이아신, 칼슘, 마그네슘, 인, 철, 칼륨, 동, 니켈, 요오드, 불소 등을 다량 함유한다.

 

<표 1> 붕어의 영양성분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에너지
(Kcal)
수분
(%)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소
(g)
회분
(g)
생것 94 78.9 18.1 1.8 0.1 0 1.1
구운것 177 49.4 18.0 4.4 14.4 0 13.8
삶은것 225 39.7 15.7 4.4 28.6 0 11.6

 

<표 2> 붕어의 무기질(mineral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무기질(minerals)
칼슘
(mg)

(mg)

(mg)
나트륨
(mg)
칼륨
(mg)
생것 56 193 2.4 30 340
구운것 1,903 1,095 4.2 78 216
삶은것 315 814 59.5 51 168

 

<표 3> 붕어의 비타민(vitamin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비타민(vitamins)
베타카로틴
()
B1
(mg)
B2
(mg)
나이아신
(mg)
C
(mg)
생것 0 0.31 0.15 2.6 1
구운것 - - - - -
삶은것 - - - - -

 

특이한 점은 생것에 비하여 굽거나 삶은것에서 칼슘과 인의 무기질 함량 특히 칼슘과 인, 철의 함량이 월등하게 높아졌다.

4. 붕어의 효능·효과와 이용

붕어는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를 다스린다. 소갈(消渴)을 다스리고, 산기(疝氣: 허리 또는 아랫배가 아픈 증상)를 다스리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중초를 따뜻하게 하며 소화작용을 돕는 효능이 있다.

4-1. 즉어두(鯽魚頭)

붕어의 머리는 해수, 이질, 소아구창, 그리고 황색즙이 나오는 황소창(黃小瘡)을 치료한다. 『당본초(唐本草)』에는 “붕어 머리를 태운 재는 소아의 두창(痘瘡:천연두), 구창(口瘡) 등을 치료한다.”고 하였고, 『본초습유(本草拾遺)』에는 “해수를 치료하려면 붕어의 머리를 태워서 가루로 하여 복용한다.”고 하였으며, 『전남본초(滇南本草)』에는 “붕어의 머리를 태워 재로 하여 한센병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붕어 머리 태워서 갈은 것을 복용하면 설사를 멎게 하며 술과 함께 복용하면 탈항과 여성의 자궁탈을 치료하는데 기름에 개어 바르기도 한다.”라고 기술하였고, 『본초재신(本草再新)』에는 “붕어의 머리는 천연두를 발진(發疹) 시킨다.”고 하였다.

4-2. 즉어골(鯽魚骨)

『식료본초(食療本草)』에는 “붕어의 뼈를 태워서 재로 하여 부스럼에 바른다.”고 하였다.

4-3. 즉어뇌(鯽魚腦)

『인제직지방(仁薺直指方)』에는 “청력 장애를 치료하는 데는 붕어의 뇌 1홉을 죽통(竹筒) 안에 넣고 쪄서 식으면 귓속에 넣는다.”라고 수록하고 있다.

4-4. 즉어담(鯽魚膽)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붕어의 쓸개즙을 취하여 감질(疳疾)에 의해서 생기는 창개(瘡疥)인 감창(疳瘡)에 바른다. 살충하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인후에 떨어뜨려 넣으면 생선뼈가 걸린 증상, 대나무 가시가 걸려서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라고 기록하였다.

4-5. 즉어자(鯽魚子)

붕어의 알이다. 『식료본초(食療本草)』에 의하면 “붕어의 알은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간기(肝氣)를 보한다.”고 하였고 『본초재신(本草再新)』에는 “붕어의 알은 눈의 장예(障翳) 즉 백내장을 제거한다.”고 하였다.

5. 붕어의 주치와 응용

붕어는 비위가 허약하고 냉한 사람의 비위를 따뜻하게 덥혀주며, 소화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 출산 후 젖이 잘 나오지 않는 사람,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사람,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토하는 반위 증상이나 식욕부진, 수종(水腫) 등을 다스린다.

6. 붕어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붕어를 회향과 같이 먹으면 소장의 산기(疝氣)를 다스리는 효과가 있다. 비늘을 그대로 두고 찻잎으로 속을 채워 잿불에 넣어 익히면 소갈(消渴)을 다스리는 효과가 있고, 순채를 배합하면 구역질이 그치지 않을 때 좋으며, 당귀와 구기자를 배합하면 산후부종에 좋다. 머위를 배합하면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팥을 배합하면 부종을 가라앉히며, 찻잎을 함께 넣어 조리하면 당뇨병에 좋다. 무를 배합하면 기침, 가래를 가라앉히고, 차조와 파를 배합하면 속이 냉해서 생긴 설사 치료에 좋다.

7. 붕어의 이용과 조리 사례

붕어, 무, 고추장, 된장, 청양고추, 마늘, 당귀, 미나리 등을 재료로 하는 <붕어찜>이 있고, 그 밖에도 붕어는 국, 탕, 찜, 약죽, 어죽 등 다양한 조리법이 개발되어 있다.

7-1. 비위허약과 식욕부진을 다스릴 때

붕어 1마리를 비늘과 내장을 제거하고 자구(紫蔲) 가루 10g과 진피(陳皮), 생강(生薑), 후추 등을 붕어의 뱃속에 넣고 삶아서 식용한다.

7-2. 수종을 치료할 때

신선한 붕어 1마리를 비늘과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사인(砂仁) 가루 10g, 감초(甘草) 가루 5g을 뱃속에 넣고 실로 잘 동여맨 다음 조미료를 넣지 말고 쪄서 몇 차례로 나누어 식용하고 식용한 후에는 20일 동안 소금, 간장의 복용을 금한다.

8. 붕어를 먹을 때 주의 사항

사슴고기, 갓, 돼지 간과 같이 복용할 수 없고, 후박, 사당, 천문동, 맥문동과도 함께 복용하면 안 된다.

9. 마무리

비위(脾胃)의 기운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력을 돕고 당뇨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붕어는 중초의 기운을 보하는 최고의 식품이자 약재이다. 부위별로 머리, 뇌, 뼈, 쓸개, 알 등 모두 약용하기 때문에 해당되는 약재를 넣고 물을 부어 달여서 복용하면 좋다. 특히 식욕부진이나 기력을 회복하는데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