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을 낮추고 장과 위를 청결하게 하여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소화를 돕고 갑상선종이나 임파선이 붓거나 악성종양을 예방하고 수종(水腫)이나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등에 효과가 좋은 매생이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기원과 특성
1-1.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기원
꼬시래기과의 바다식물로 매생이(Undaria pinnatifida Suringar)를 말하며, 해채(海菜), 선채(線菜) 등으로도 불린다.
직립해 있고 군생(群生)하며 높이는 10〜50㎝ 정도인데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자갈색이며 약간 녹색 혹은 황색을 띠고 있는 것도 있으며 마르면 갈색으로 변한다. 연골질이고 실 모양이며 원주 모양이고 기부에는 한 개의 원판상 고착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가 있으며 지름은 1〜2㎜이고 1〜2회 분지 되어 있는데, 각 방향으로 호생 또는 편생하고 있으며 가지의 지름은 0.5〜1㎜이다.
조체의 내부는 큰 박벽(薄壁) 세포로 조성된 고갱이 부위를 이루며 바깥 주위의 2〜5층은 점차 작은 피층 세포로 변한다. 4개로 나누어진 홀씨주머니는 자홍색이고 조체의 표면에 흩어져 있고 피층 세포 속에 들어 있으며 십자형으로 분열한다.
조정기(造精器)는 약간 오목한 부분 혹은 생식기 소상(巢狀)의 함입 부분의 내측에 생기며 연한 황색이다. 조과기(造果器)는 구형이거나 반구형이다.
1-2.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형태 및 생리·생태적 특성
비옥하고 고요하며 후미진 바닷가에서 가장 잘 자란다. 중국의 연해 각지에 분포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서남해 연안에 분포한다.
조선시대 전남 장흥군의 진상품으로 『자산어보』를 비롯한 여러 기록에도 등장한다.
2.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성미, 귀경
매생이의 맛은 짜고 달며 성질은 차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맛은 달며 성질을 차고 독이 없다.”라고 하였다.
간, 폐, 비, 신 경락으로 들어간다.
3.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알칼리성이 강하여 인체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비타민 B의 일종인 콜린이 들어 있어 기억력을 좋게 하고 비타민 U를 함유하여 위궤양 치료에 도움이 된다. 홍조류와 남조류에 흔히 들어 있는 적색 색소 단백질인 파이코에리드린(phycoerythrin)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 0.0315%를 함유한다.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에 좋고, 칼륨, 아이오다인, 칼슘도 풍부하여 뼈 질환은 물론 어린이 성장 발육에도 좋은 식품이다. 아스파라긴산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부드러운 맛으로 술 마신 다음 숙취 해소 음식으로도 좋다. 칼로리가 적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는다. 비타민이 풍부하여 피부미용에도 좋다.
4.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효능·효과와 이용
혈압을 낮추고 장(腸)과 위(胃)를 청결하게 하여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소화를 돕고, 느끼하고 적체되어 있는 것을 풀어주며 열을 내리는 작용이 있고 수액 대사를 활발하게 한다.
5.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주치와 응용
갑상선 종이나 임파선이 붓거나 악성종양을 예방하고, 수종(水腫)이나 소변불리(小便不利)증을 치료하며, 혈압과 혈청 지방을 낮춰 동맥경화나 심혈관질환에 좋고 빈혈을 예방하고 변비에 좋고 비만에도 효과가 있다. 간 기능을 활발하게 하여 숙취 해독작용이 있다.
6. 매생이(용수채:龍鬚菜)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굴이나 조개류를 함께 넣고 국을 끓여 먹는다.
7. 매생이(용수채:龍鬚菜)의 이용과 조리 사례
임파선이 붓고 뭉친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매생이국>,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매생이차전음>, 몸에 열이 있으며 혈압이 높고 소화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갑상선암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매생이죽> 등이 애용된다.
8. 매생이(용수채:龍鬚菜)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매생이는 성질이 차기 때문에 위나 장이 냉한 사람은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한다.
9. 마무리
꼬시래기과의 바다식물로 해채(海菜), 선채(線菜) 등으로도 불리는데, 용수채(龍鬚菜)라는 약재명으로 불리는 매생이는 특히 조개류를 넣고 끓인 국물맛이 일품이며 개운하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물치 [흑어(黑魚)]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6) | 2024.10.13 |
---|---|
미역 [곤포(昆布)]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2) | 2024.10.11 |
다시마 [곤포(昆布)]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2) | 2024.10.07 |
김 [자채(紫菜)]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3) | 2024.10.05 |
양송이 [양마고(洋蘑菇)]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2)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