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맛조개 [죽합(竹蛤),정육(蟶肉)]의 특징과 성분 약효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5. 1. 24.

갯벌에 나가 소금 한 봉지 들고 작은 숨구멍을 찾아 소금을 뿌리면 쏙 기어 나오는 맛조개는 자녀들과 함께 잡는 재미와 더불어 자연 체험의 도구로 활용된다. 다른 조개류에 비하여 단백질과 지질이 적은 맛조개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맛조개의 기원과 특성

1-1. 맛조개의 기원

죽합과에 속하는 “맛”이다. 길이 12㎝ 정도로 껍데기는 가늘고 길며 겉은 대나무색 각피로 덮여 있어 죽합이라고도 한다. 껍데기는 밀폐되어 있지 않아 앞뒤 끝 부분이 열려 있으며, 앞에는 큰 발을 내놓고 뒤쪽으로는 외투막이 융합하여 긴 수관을 형성하고 있다.

정(蟶), 정장(蟶腸), 정육(蟶肉) 등으로도 불린다.

한국산 맛조개는 모두 7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중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맛조개(Solen strictus)를 말한다. 맛조개(Solen strictus)와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a Lamarck) 등을 식용한다.

1-2. 맛조개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해변의 모래나 개펄에 구멍을 파고 산다. 살이 부드럽고 맛이 좋아 음식으로 많이 먹는다. 한국·중국·일본·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군산, 부안, 김제에서는 죽합, 서산, 태안, 당진 에서는 개맛 혹은 참맛이라고 부른다. 그 밖에 기맛, 개솟맛 등으로도 부른다. 길이 10∼15㎝, 너비 1.5㎝ 정도로 대나무처럼 가늘고 긴 원통형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갈색이지만 표면이 벗겨지면 안쪽으로 광택이 나는 흰 껍질이 드러나기도 한다. 살은 옅은 붉은색이다.

갯벌이나 얕은 바다의 모래펄에 타원형의 구멍을 파고 사는데 다른 조개류에 비해 입수공과 충수공이 유난히 길다. 갯벌에 물이 차면 구멍의 위쪽으로 올라와 물속의 유기물을 걸러 먹는다. 수온이 20℃ 이상으로 상승하는 6∼7월 사이에 산란한다.

어린 조개는 발에 해당하는 족사가 없어 자유생활을 하며, 성체가 되면 만 안쪽의 갯벌에 30∼60㎝ 깊이의 타원형의 구멍을 파고 살며 썰물 때 작은 숨구멍을 찾아 모래를 걷어내면 타원형의 구멍이 보이며 이 구멍에 소금 등을 뿌리면 그 자극에 의하여 음경처럼 생긴 속살이 구멍 입구로 튀어나오는데,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잡기도 하고 철사를 화살 모양으로 만든 “써개”나 “맛새” 등의 도구를 이용해 구멍 속을 찍어서 잡기도 한다.

맛조개(죽합) - by pixabay
맛조개(죽합) - by pixabay

2. 맛조개의 성미, 귀경

맛조개의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차다. 간과 신 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맛조개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지미성분(旨味成分, 감칠맛 성분)의 주체는 유기산의 일종인 호박산이다. 그 외에도 글루탐산 등을 함유한다.

다른 조개에 비하여 단백질과 지질이 적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칼슘, 철분, 아연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

4. 맛조개의 효능·효과와 이용

음기를 보하고(보음 補陰) 열을 내리며(해열 解熱) 빈혈을 없애고 갈증을 멈추게 한다.

암 환자가 수술 후에 먹으면 좋은 음식인데 맛조개에 돼지고기, 녹두가루, 사인, 화초, 대파, 간장, 식초, 요리술, 소금 등을 넣고 탕을 끓여 먹는다.

5. 맛조개의 주치와 응용

맛조개는 음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위로 열이 치솟는 음허화왕(陰虛火旺)의 체질로 결핵이나 당뇨, 건조증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고 암이나 열병으로 음기가 상하여 번열이 나고 갈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다. 술을 깨는 효능이 있어 음주를 많이 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6. 맛조개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피로를 풀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전신에 활력을 넣기 위하여 정향, 맛조개, 오징어, 새우, 잡채, 미나리, 대파, 두부 등을 닭육수에 넣고 익혀 먹는다.

7. 맛조개의 이용과 조리 사례

소금구이나 무침으로도 많이 먹으며 찌개, 탕의 재료로 사용하며, 염장을 하여 ‘맛젓’으로 담아 먹기도 한다.

8. 맛조개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맛조개는 성질이 차서 비위가 찬 사람에게 좋지 않으며 [본초구진(本草求眞)]에는 비위가 찬 체질의 사람이 먹으면 필히 동기(動氣)하여 설사를 한다고 하였다.

맛조개는 날것으로 먹을 경우 장염비브리오에 걸릴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하며 3∼4월에 내장이 붉게 된 것은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9. 마무리

대나무 조각을 맞붙여 놓은 모습이라 하여 죽합(竹蛤)이라고 불리는 맛조개는 다른 조개류에 비하여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낮고 담백하며, 칼로리가 낮은 다이어트 식품이면서 호박산과 글루탐산을 다량 함유하여 지미성분이 뛰어나고, 피로회복, 정신안정, 보음(補陰), 해열(解熱)하는 효능이 뛰어난 식약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