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신경을 안정시키고, 소화불량을 치료하며 젖이 부족한 산모나 회복기의 환자, 빈혈 등에 좋은 도미는 매우 다양한 조리법과 맛으로 유명하다. 도미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도미의 기원과 특성
1-1. 도미의 기원
도미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서 참돔(red sea bream), 황돔(yellow sea bream), 붉돔(crismon sea bream), 녹줄돔, 청돔, 감성돔, 새눈치, 돌돔, 강담돔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도미를 줄여서 “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2. 참돔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그중 참돔(Pagrus major Temminck et Schlegel)은 몸길이 1m, 무게 8kg에 달한다. 수심 30~150m의 물 흐름이 좋고, 바닥이 암초나 자갈 또는 모래로 된 곳에 산다. 참돔이 살기에 알맞은 온도는 18~20℃이며 15℃ 이하에서는 먹이를 잘 먹지 않지만, 어린 참돔은 6~7℃에서도 잘 먹는다. 4~5월 무렵 얕은 곳에서 산란하는데, 산란이 끝나면 몸은 야위고 몸 빛깔이 약간 검게 되며, 고기 맛도 떨어진다.
한반도 연해에는 참돔과 감성돔이 대표적인 어종이며 옥돔은 제주도의 특산품이다.
수온이 14℃ 이하로 내려가는 늦가을에는 가까운 바다로 오며 이때에는 먹이를 먹지 않는다. 그러나 수온이 올라가는 봄이 되면 어미 참돔은 게·새우·까나리·오징어를 비롯하여 성게·불가사리까지 먹어 치운다. 수명은 20~30년으로, 물고기 중에서는 긴 편이다. 참돔이 가장 맛이 좋은 시기는 겨울에서 봄이며, 붉돔은 초여름이다.
눈동자가 맑고 투명하며 아가미가 선홍색으로 선명하며 비늘과 지느러미가 손상되지 않은 것이 신선하다.
2. 참돔의 성미, 귀경
참돔의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신 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도미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고급의 단백질을 함유하며 칼륨, 칼슘, 인, 철 등의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특히 눈 주위에 젤라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타우린 함량도 풍부하여 간세포를 활성화하고 숙취 해소에도 도움을 주며 담석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주는 이노신산 및 글루타민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 B군을 고루 함유하고 있다.
<표 1> 도미의 영양성분 (농촌진흥청)
구분 | 가식부 100g 당 | ||||||
에너지 (Kcal) |
수분 (%) |
단백질 (g) |
지질 (g) |
당질 (g) |
섬유소 (g) |
회분 (g) |
|
참돔 | 109 | 75.0 | 21.6 | 1.8 | 0.1 | 0 | 1.5 |
옥돔 | 110 | 77.0 | 17.8 | 3.7 | 0.1 | 0 | 1.4 |
흑돔 | 102 | 76.1 | 21.1 | 1.3 | 0.1 | 0 | 1.4 |
황돔 | 113 | 75.8 | 19.4 | 3.2 | 0.3 | 0 | 1.3 |
감성돔 | 96 | 77.5 | 19.8 | 1.3 | 0 | 0 | 1.4 |
돌돔 | 99 | 77.8 | 18.3 | 2.2 | 0.3 | 0 | 1.4 |
뱅애돔 | 98 | 77.0 | 20.2 | 1.4 | 0 | 0 | 1.4 |
<표 2> 도미의 무기질(mineral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 가식부 100g 당 무기질(minerals) | ||||
칼슘 (mg) |
인 (mg) |
철 (mg) |
나트륨 (mg) |
칼륨 (mg) |
|
참돔 | 66 | 256 | 0.9 | 75 | 380 |
옥돔 | 31 | 205 | 1.4 | 80 | 400 |
흑돔 | 22 | 249 | 1.2 | 106 | 297 |
황돔 | 31 | 209 | 1.0 | 90 | 420 |
감성돔 | 32 | 256 | 0.8 | 90 | 420 |
돌돔 | 48 | 207 | 1.2 | - | - |
뱅애돔 | 42 | 233 | 1.1 | - | - |
<표 3> 도미의 비타민(vitamin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 가식부 100g 당 비타민(vitamins) | ||||
베타카로틴 (㎍) |
B1 (mg) |
B2 (mg) |
나이아신 (mg) |
C (mg) |
|
참돔 | 0 | 0.26 | 0.15 | 4.8 | 1 |
옥돔 | 0 | 0.15 | 0.20 | 4.5 | 1 |
흑돔 | 0 | 0.12 | 0.09 | 3.2 | 1 |
황돔 | 0 | 0.18 | 0.21 | 3.5 | 0 |
감성돔 | 0 | 0.11 | 0.18 | 2.8 | 1 |
돌돔 | 0 | 0.19 | 0.20 | 2.8 | 1 |
뱅애돔 | 0 | 0.07 | 0.18 | 2.5 | 1 |
4. 도미의 효능·효과와 이용
근육의 재료가 되고 운동 후 피로회복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을 공급해 주는 단백질이 풍부하여(100g 당 20g 이상) 세포의 구조를 형성하고 효소 및 호르몬의 생성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여 심혈관 건강을 돕고, 심장질환과 뇌 건강에도 도움을 주며, 염증을 줄여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준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항산화 작용과 뼈 건강, 신경계 건강에 필수적이며 무엇보다 저 칼로리 식품으로 소화가 잘되고 피부와 뇌 건강에 도움을 준다. 특히 생선류 중에서 필수비타민인 비타민 B1의 함량이 가장 높은데, 이는 당질 대사를 촉진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5. 참돔의 주치와 응용
신경불안증, 소화불량, 산모가 젖이 부족한 증상, 회복기의 환자, 빈혈 등에 좋다.
기력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며 뼈를 건강하게 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탄력 있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 주는 데 도움이 된다.
간세포를 활성화하고, 숙취를 해소하며, 고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6. 참돔과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산수유를 배합하면 신기능을 강화하는 데 상승작용을 하여 정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7. 도미의 이용과 조리 사례
도미는 모나지 않은 좋은 맛으로 <도미회>, <도미초밥>, <도미솥밥>, <소금구이>, <뫼니에르>, <도미찜>, <도미찌개> 등 매우 다양한 조리에 이용될 수 있으며 싱싱한 것을 회로 먹는 것이 가장 맛이 좋다.
감성돔은 갯 냄새가 약간 나지만 맛이 좋아서 횟감으로 오히려 더 적당하며, 돌돔, 강담돔도 고깃살이 단단하여 횟감으로 적당하다.
도미는 먼저 칼등으로 비늘을 긁어 벗기고, 아가미를 벌려 내장을 제거해 준 다음 깨끗이 씻어 적절한 방법으로 조리한다.
조리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비타민 B1이 가장 많이 들어있는 눈과 껍질을 완전히 벗겨내지 말고 <탕수도미>로 요리해서 껍질째 먹으면 좋다.
8. 도미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도미는 비교적 대형 어종으로서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상당히 상위 단계에 속한다. 따라서 수은과 같은 중금속의 함량이 높을 수 있고 기생충의 감염 위험도 있다. 특히 대형 생선일수록 중금속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어서 어린이나 임산부들은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일부에서는 가려움증, 발진, 호흡곤란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특히 항응고제와 같은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에는 도미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이 혈액 응고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통풍 병력이 있는 사람은 도미를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감성돔의 경우에는 몸에 열이 많아 습진, 종기가 잘 생기는 체질은 피한다. 아니사키스 모양의 선충이 기생하는 수가 있어 회로 섭취할 때는 주의한다.
9. 마무리
피로 회복과 노화 방지에 효과가 높은 도미는 적당한 칼집을 내어 간을 스미게 하고, 각종 양념으로 장식한 도미찜으로 하여 큰 잔치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생선이다. 뿐만 아니라 횟감, 초밥 재료, 찌개, 탕수 등 조리의 응용 범위가 매우 넓어서 널리 사랑받는데, 그 효능 또한 뛰어나니 관심 가져 볼 만한 귀한 생선이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기 [염어(鯰魚), 종어(宗魚)]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1.26 |
---|---|
맛조개 [죽합(竹蛤),정육(蟶肉)]의 특징과 성분 약효 이용법 (0) | 2025.01.24 |
황정 [황정(黃精)]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1) | 2025.01.20 |
황정 [황정(黃精)]의 기원과 생육 특성 및 생산 가공법 (0) | 2025.01.18 |
당귀의 특징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