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대합조개 [합리(蛤蜊)]의 특징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5. 1. 12.

해열(解熱), 화담(化痰), 연견(軟堅), 이뇨(利尿) 등의 효능이 있고, 오장을 윤활하게 하며 항암작용을 하는 대합조개[합리(蛤蜊)]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대합조개의 기원과 특성

1-1. 대합조개의 기원

백합과의 대합조개(Mactra quadrangularis Deshayes)이다. 개량조개, 동죽, 네모개량조개 등으로 불리며, 취조(吹潮), 사합(沙蛤), 사리(沙蜊) 등의 이명(異名)으로도 부른다. 껍데기는 길이가 8.5㎝, 높이가 6.5㎝, 폭이 4㎝ 정도이다. 흰빛을 띤 잿빛 갈색에 붉은 갈색의 세로무늬가 있고 매끄러우며 안쪽은 희다. 식용하며 껍데기는 바둑돌이나 물감 따위의 재료로 쓴다. 사합(沙蛤), 사리(沙蜊), 취조(吹潮)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수재 되어 있지 않고,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가우본초(嘉祐本草)』 등에 수재되어있다.

 

1-2. 대합조개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패각은 거의 사각형을 이루며 양각은 팽창되어 있다. 패각의 너비는 높이와 거의 같다. 유체(幼體)는 흔히 엷은 자색을 띠었으나 배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은 황갈색이며 복면(腹面) 가장자리는 보통 좁고 흑색변(黑色邊)이 있다. 조가비의 내면은 회백색이다. 발은 납작한 도끼 모양이다.

조간대(潮間帶)의 중, 하 구역의 펄과 모래가 섞인 갯벌에 서식하는데, 한반도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며, 중국에는 각 연해에 분포한다.

대합조개는 육(肉)을 약으로 사용하는데, 손 쇠스랑을 사용하며 채취하며 채집한 것은 끓는 물에 삶은 후 육을 분리하여 햇볕에 말린다.

대합조개 - by pixbay
대합조개 - by pixbay

2. 대합조개의 성미, 귀경

대합조개의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 『가우본초(嘉祐本草)』에는 성질이 차고 독은 없다고 하였고, 『일용본초(日用本草)』에는 맛은 짜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고 하였으며, 『음선정요(飮膳精要)』에는 맛은 달고 성질은 매우 차며 독이 없다고 하였다.

폐, 위, 신 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대합조개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합리(蛤蜊)의 가식부 100g 중에는 수분 80g, 탄수화물 4.6g, 단백질 10.8g, 지방 1.6g, 회분 3.0g, 칼슘 37mg, 인 82mg, 철 14.2mg을 함유하고 비타민류는 A 400IU, B1 0.03mg, B2 0.01mg 등을 함유하며, 마른 제품 1,000g에는 요드가 2,400㎍ 함유되어 있다.

 

4. 대합조개의 효능·효과와 이용

열을 내리는 해열(解熱), 습을 없애고 담을 삭이는 화담(化痰), 굳은 것을 유연하게 해주는 연견(軟堅). 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이수(利水)등의 효능이 있다. 또 오장을 윤활하게 하고 항암작용을 한다.

가래가 많고 기침이 심할 때는 대합조개 조가비를 구운 후 부드럽게 가루 내어 한 번에 4g씩, 하루 3회 복용한다. 갑상선종, 헛배가 부르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 변비가 있는 증상에는 대합조개를 삶아 먹는다. 또한 토하거나 갈증이 나는 데는 대합조갯국을 먹으면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춘다.

5. 대합조개의 주치와 응용

음(陰)이 약한 체질이나 음허로 인한 병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며 폐결핵으로 인한 도한(盜汗:잘 때 의식하지 못하며 흘리는 땀), 각혈과 당뇨에 효과가 있으며 건조종합증으로 입이 마르고, 갱년기로 조열, 홍열이 날 때도 좋으며 홍반성 낭창이나 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고 난 후에 식용하면 도움이 된다. 또한 임파선이 붓거나 임파결핵, 갑상선종에 효과가 있으며 고지혈증, 심장병,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고 수종이나 소변임통(淋痛)이나 음주를 많이 하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만성기관지염, 위․십이지장궤양, 치질, 기능성 자궁출혈, 대하, 습진, 갑상선종 등에도 이용한다.

 

6. 대합조개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대합조개는 부추와 함께 먹으면 폐결핵으로 인해 음허(陰虛) 도한(盜汗)이 있는 사람에게 유익하다. 산약과 배합하면 당뇨가 있는 사람은 아주 좋다. 두부와 배합하면 자음윤조(滋陰潤燥) 작용과 청열해독(淸熱解毒) 작용이 강해져 기혈 부족이나 피부가 거칠고 건조한 데 효과가 좋아진다.

7. 대합조개의 이용과 조리 사례

대합조개는 다양하게 먹을 수 있다. 조개와 홍합을 물에 끓여 탕을 만들어 먹으면 폐결핵으로 음이 많이 허약한 사람에게 좋은 <조개홍합탕>, 음허로 인해 가슴이 답답하거나 불면증 또는 갈증이 나는 증상을 치료하는 <합리백합옥죽탕>, 폐결핵조열이나 도한에 효과가 있는 <합리맥문동탕>, 바지락 200g, 익모초싹 500g, 우슬 30g을 넣고 탕을 끓여 먹으면 전립선비대증에 효과가 있는 <합리곤초탕>, 폐결핵에 좋다고 알려진 <부추조개탕> 등이 있다.

 

8. 대합조개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대합조개를 밭에서 나는 우렁이와 같이 먹으면 중독이 되는데 향채(香菜:고수)를 먹으면 해독이 된다. 조개와 감귤을 배합하면 중독이 될 수 있는데 녹두탕으로 해독한다. 셀러리와 동시에 섭취하면 복통설사가 일어날 수 있다. 성질이 차서 평소 위가 찬 사람에게는 부적합하고 비(脾) 기능이(脾) 허약하여 변이 묽거나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 여성의 생리기간이나 아랫배가 차면서 생리통이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9. 마무리

바다가 주는 귀한 선물 대합조개는 열을 내리고 습담을 없애며 굳은 것을 유연하게 풀어주고, 이뇨하는 효능이 있어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개류이다. 폐결핵과, 당뇨, 피부건조에도 응용할 수 있는 귀한 식재이자 약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