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대구 [설어(鱈魚)]의 특징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5. 1. 10.

혈액 순환을 돕고, 종기를 다스리며 진통 효능이 있고, 간(肝)과 신(腎)의 기운을 보익(補益)하며 태아를 안정시키고 소화를 돕는 작용이 있는 대구[설어(鱈魚)]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대구의 기원과 특성

1-1. 대구의 기원

대구과에 속하는 한대성 어류 대구(Gadus macrocephalus Tilesius)로 한반도 동해 북쪽, 일본 북쪽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에 분포한다. 명태보다 대형이고 머리는 크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다. 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수재 되어 있지 않다.

1-2. 대구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몸통은 두텁고 뒤쪽으로 갈수록 좌우로 납작해진다. 머리는 크고 주둥이는 길다. 2쌍의 콧구멍이 있고 앞 콧구멍의 뒤 가장자리에 작은 피판이 1개 있다. 입은 크고 앞쪽으로 열린다.

윗턱이 아래턱보다 돌출되어 있고, 아래턱에 눈지름 길이의 수염이 1개 있다. 몸은 작고 둥근 비늘로 덮여있다. 측선은 휘어져 대체로 S자형을 이룬다.

등지느러미는 3개이고 뒷지느러미는 2개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짧은 낫실모양이다. 꼬리지느러미 후연은 안쪽으로 약간 오목하다. 체측 상반부는 회갈색으로 갈색과 황색의 무늬들이 불규칙하게 혼합되어 있다. 배는 흰색이고 각 지느러미는 회색이다.

바다 아래층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이며, 작은 물고기와 연체동물 등을 먹는다.

한반도 전 해역에 분포하고, 중국에는 발해와 황해 동중국해 북부에 분포한다.

대구 전체를 약으로 사용하는데, 포획한 대구를 약한 불에 말려 가루 내어 저장한다.

대구 - 한국
대구 - 한국

 

2. 대구의 성미, 귀경

대구의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다(평하다 고도함).). 폐, 비, 위, 심, 신, 대장 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대구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칼슘, 인, 철, 칼륨, 비타민류(A, B1, B2, D)를 함유하며 대구에는 특히 지방 성분이 많고 비타민 A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간유(肝油)의 원료가 되며, 대구의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이다.

 

대구의 주요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대구의 영양성분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에너지
(Kcal)
수분
(%)
단백질
(g)
지질
(g)
당질
(g)
섬유소
(g)
회분
(g)
생  것 80 80.5 17.6 0.5 0.2 0 1.2
말린것 256 34.0 56.0 2.0 0.3 0 7.7
구운것 109 72.8 25.2 0.2 0.2 0 1.6
내  장 85 80.8 15.0 2.3 0.1 0 1.8
109 69.6 23.4 1.6 0.2 0 5.2
냉동품 82 80.2 18.0 0.5 0.1 0 1.2
대구포 312 21.9 65.4 3.0 1.8 0 7.9

 

<표 2> 대구의 무기질(mineral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무기질(minerals)
칼슘
(mg)

(mg)

(mg)
나트륨
(mg)
칼륨
(mg)
생  것 64 197 0.6 119 420
말린것 26 352 2.6 500 930
구운것 48 280 0.4 140 480
내  장 26 418 7.3 194 331
10 375 1.0 - -
냉동품 23 209 0.2 162 222
대구포 184 649 2.6 967 940

 

<표 3> 대구의 비타민(vitamin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가식부 100g 당 비타민(vitamins)
베타카로틴
()
B1
(mg)
B2
(mg)
나이아신
(mg)
C
(mg)
생  것 0 0.12 0.16 2.4 1
말린것 0 0.10 0.15 11.0 0
구운것 0 0.09 0.12 1.4 미량
내  장 0 0.22 0.11 1.0 1
0 0.66 0.59 12.7 미량
냉동품 0 0.06 0.05 1.5 0
대구포 0 0.26 0.32 7.4 미량

 

전체적으로 칼로리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생것보다 말린 것에서 높고, 무기질에서는 특히 칼륨, 인과 칼슘 성분이 풍부하며 특히 대구포와 말린 것에서 그 함량이 탁월하게 높다. 비타민은 나이아신의 함량이 높고, 비타민 B군은 고루 풍부하다.

4. 대구의 효능·효과와 이용

대구는 혈액 순환을 도와주고, 종기를 다스리며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타박상과 골절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간(肝)과 신(腎)의 기운을 보익(補益)하며 태아를 안정시키고 소화를 돕는다.

타박상이나 골절을 치료하는 데는 발려서 가루를 낸 어분(魚粉)을 적당히 넣어 풀처럼 반죽하여 환부에 바른다.

5. 대구의 주치와 응용

대구는 타박상이나 골절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대구의 뼈는 각기병에 좋고, 부래는 각혈을 치료한다. 기타 야맹증과 구루병, 대하증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며 인슐린의 원료로도 이용할 수 있다.

대구의 뼈는 각기(脚氣)를 치료하는데 뼈를 약한 불에 구워 가루를 낸 후 물로 풀처럼 반죽하여 발에 붙인다.

대구의 부레는 각혈(咯血)을 치료하는데 부레를 아교처럼 만든 표교(鰾膠)로 만들거나 삶아 익혀서 먹는다.

또한 대구의 이선(胰腺:췌장)으로 인슐린을 정제할 수 있다.

6. 대구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대구에 대구와 들기름을 배합하면 영양 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도와준다. 대구에 마늘과 생강을 배합하면 비린내를 없앨 수 있고, 쌀을 배합하면 보양식으로 뛰어나다. 따라서 예로부터 쌀밥에 대구탕은 이상적인 식단으로 자리 잡았다. 대구에 석류껍질을 배합하면 구충제로 효과가 있다.

7. 대구의 이용과 조리 사례

대구, 묵은 김치, 미나리, 무, 생강, 양파, 굴, 밥 등을 재료로 하는 <대구김치국밥>이 있다.

그 밖에도 탕과 찌개, 찜 등 다양하다.

곤이와 이리 - 한국
곤이와 이리 - 한국

8. 대구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대구는 한류어종으로서 성질이 따뜻하기 때문에 속이 더운 사람은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한다.

9. 마무리

우리가 흔히 생선가게에서 대구를 사면 주인은 “알 든 것으로 드릴까요, 곤이 든 것으로 드릴까요?”라고 묻는다. 이때 “알”은 암컷 대구의 알집을 의미하고 “곤이”는 수컷 대구의 정소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세속의 습관상 부르는 잘못된 표현이다.

정확하게 표현하려면 알집을 “곤이”라고 불러야 하며 정소는 “이리”라고 바로잡아야 한다.

대구는 한류 어종으로 성질이 따뜻하여 몸을 따뜻하게 보하는 대구는 특히 겨울철 속을 개운하게 보하는 서민들의 음식이자 종기를 없애고 타박상과 골절을 치료하는데 좋은 효과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