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과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장과 위를 조화롭게 하며, 노어(鱸魚), 화로(花鱸) 또는 노자어(鱸子魚)라고도 불리는 농어[노어(鱸魚)]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농어의 기원과 특성
1-1. 농어의 기원
경골어강의 농어목(Perciformes) 농어과(Percichthyidae)에 속하는 해산어류 농어(Lateolabrax japonicus Cuvier et Valenciennes) 로서 한자어로는 노어(鱸魚)라고 하며 화로(花鱸) 또는 노자어(鱸子魚)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Sea bass flesh 또는 Weever flesh라고 한다.
농어 전체를 약으로 사용하는데, 사계절 언제나 포획할 수 있으며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려 저장한다.
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수재 되어 있지 않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노어(鱸魚)라고 수재하고 있으며, 『식료본초(食療本草)』, 『본초경소(本草經疏)』 등에도 수재 되어 있다.
1-2. 농어의 형태와 생태적 특성
농어는 길이 최대 1m로 몸은 약간 길고 납작하며 등은 푸른빛이 도는 회색, 배는 은백색이다. 개체에 따라 몸의 측면과 등지느러미에 작은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농어는 계절에 따라 생활 장소를 이동하는데, 깊은 곳에서 겨울을 보낸 성어는 6월경 연안의 암초, 갯바위 등으로 이동하다가 여름에는 새우류 등 대형 갑각류나 어류를 먹고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연안을 따라 점차 근해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하구의 담수에서도 나타난다.
한국의 서남해 연안과 강 하구에 주로 분포하며, 중국에는 북쪽의 발해(渤海)에서부터 남쪽의 남해에 이르는 연해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 농어의 성미, 귀경
농어의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본초경소(本草經疏)』에는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고 하였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약간의 독이 있다고 하였다. 폐, 비, 신, 대장 경락으로 들어가 작용한다.
3. 농어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류(A, B1, B2, B6, E, PP)를 함유하며, 칼슘, 마그네슘, 인, 칼륨, 철, 붕소, 코발트, 몰리브덴, 망간, 아연, 구리, 니켈, 요오드, 불소 등과 여러 가지 아미노산류를 함유하고 있다.
농어의 주요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농어의 영양성분 (농촌진흥청)
구분 | 가식부 100g 당 | ||||||
에너지 (Kcal) |
수분 (%) |
단백질 (g) |
지질 (g) |
당질 (g) |
섬유소 (g) |
회분 (g) |
|
생 것 | 96 | 78.5 | 18.2 | 1.9 | 0.2 | 0 | 1.2 |
구운것 | 124 | 72.1 | 23.6 | 2.6 | 0 | 0 | 1.4 |
<표 2> 농어의 무기질(mineral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 가식부 100g 당 무기질(minerals) | ||||
칼슘 (mg) |
인 (mg) |
철 (mg) |
나트륨 (mg) |
칼륨 (mg) |
|
생 것 | 58 | 196 | 1.5 | 108 | 390 |
구운것 | 13 | 248 | 0.4 | 87 | 328 |
<표 3> 농어의 비타민(vitamins) 함량 (농촌진흥청)
구분 | 가식부 100g 당 비타민(vitamins) | ||||
베타카로틴 (㎍) |
B1 (mg) |
B2 (mg) |
나이아신 (mg) |
C (mg) |
|
생 것 | 0 | 0.18 | 0.13 | 3.1 | 1 |
구운것 | 0 | 0.13 | 0.15 | 1.9 | 0 |
칼로리와 단백질, 지질 함량은 생것보다 구운 것에서 높고, 무기질에서는 특히 칼륨, 인과 칼슘 성분이 풍부하며 비타민은 나이아신의 함량이 높다.
4. 농어의 효능·효과와 이용
농어는 기침을 멈추고 담을 삭이며 오장을 보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한다. 특히 수기(水氣)를 다스린다. 『가우본초(嘉祐本草)』에 따르면 자주 먹으면 건강을 증진하는데, 소금에 절인 것이 가장 좋고, 강한 햇볕에 말린 것은 향미가 있다.
간(肝)과 신(腎)의 기운을 보익(補益)하며 태아를 안정시키고 소화를 돕는다.
5. 농어의 주치와 응용
농어는 어린이들의 백일기침, 소화불량에 응용할 수 있다.
어린이의 백일기침에는 농어 아가미를 약한 불에 노랗게 볶아서 가루 내어 한 번에 2~3g씩 하루 2번 공복에 복용하거나 농어 아가미 1개에 물 100㎖를 붓고 충분히 달여서 먹는다.
6. 농어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농어에 감국, 파, 생강 등을 배합하면 몸을 튼튼히 하고 특히 신장(腎臟)을 보하는 효과가 크다. 농어에 황기를 배합하면 비위를 보하고 기운을 돋운다. 찜으로 활용하면 좋다. 또 농어에 생강과 파 등을 배합하면 몸을 보하고 소화를 돕는 데 좋다.
7. 농어의 이용과 조리 사례
농어는 특히 여름에 맛이 있고, 살이 흰색으로 횟감으로 많이 쓰이며, 약재를 배합하여 <약볶음>으로 활용하거나 국, 찜 등의 요리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8. 농어를 먹을 때 주의 사항
농어는 위나 장이 더운 사람은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는다. 많이 먹으면 음양의 부조화로 인하여 경락이 가로막히고 음식이 정체되어 잘 소통되지 않는 상태에서 차디찬 사기와 서로 엉김으로써 발생하는 현벽(痃癖) 증상이 나타나거나, 창종(瘡腫: 종기나 부스럼)이 생긴다.
또한 농어를 먹을 때는 간을 제거하고 먹어야 하고, 맹선(孟詵)은 농어를 먹고 발생한 중독증상에는 갈대뿌리(노근:蘆根) 즙을 복용한다고 하였다.
9. 마무리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오장을 고루 보하는 농어는 강한 햇볕에 말려서 보관하고 먹어도 좋고, 갖은양념을 더하여 찜으로 먹어도 좋으며 회로 먹어도 좋다. 어린이의 백일해와 소화불량에도 좋은 농어, 잘 활용해 보자.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설어(鱈魚)]의 특징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1.10 |
---|---|
달팽이 [와우(蝸牛)]의 특징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1.08 |
넙치(광어:廣魚) [비목어(比目魚)]의 특징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2) | 2025.01.04 |
낙지 [석거(石渠)]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2) | 2024.11.07 |
꽃게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2)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