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약초 탐구

#1-53. 방아풀(延命草)의 특성과 성분 약효 이용법

by 느티나무곽교수 2023. 9. 30.

방아풀은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건위, 진통, 해열, 해독, 소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복통이나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민간약초다. 방아풀의 생육 특성과 성분약효, 성미귀경, 이용법과 주의사항을 알아본다.

1. 방아풀의 생육 특성

방아풀[Isodon japonicus (Burm. f) H. hara]은 꿀풀과 산방아풀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50∼100㎝ 정도 곧게 자라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부드러운 털이 아래를 향하고 있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형이며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잎의 밑부분은 원저이고 길이 6∼15㎝, 너비 3.5∼7㎝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잎맥 위에 잔털이 있다.

방아풀-전초
방아풀-전초

꽃은 8∼9월에 담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聚繖花序)인데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기 하여 전체적으로는 원추화서(圓錐花序)이다. 꽃받침은 길이 3∼4㎜이고 꽃받침잎은 3각형이며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고 길이 5∼7㎜로서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는 10월에 맺는데 분과(分果)이며 편평한 타원형으로 윗부분에 점 같은 샘(腺)이 있다. 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방의 산과 들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중국의 하남, 산서, 협서, 감숙, 사천 지방에 분포하고, 일본의 북해도부터 규슈까지 널리 분포한다. 방아풀은 한국의 공정서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한국의 한의약 관련 학과에서 교재로 이용하고 있는 본초학 책 중에는 신민교의 정화 임상본초학』에서 '연명초(延命草)'라 하여 "소도약(消導藥"에 수록하고 있다. 동속 근연식물로 오리방풀[I. excisus (Max.) Kudo]도 함께 사용한다.

방아풀-개화기
방아풀-개화기

2. 방아풀의 채취, 가공 및 재배 기술

2-1. 방아풀의 채취 및 가공

방아풀은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서 말린다. 그대로 잘게 썰어서 사용한다

2-2. 방아풀의 재배기술

방아풀은 비교적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를 좋아한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고, 비옥한 사질 양토가 좋다. 번식은 종자를 파종하는 실생번식을 하는데 가을에 밭을 갈고 이듬해 봄에 로터리를 친 다음 너비 90∼100㎝, 높이 25㎝의 두둑을 만든 다음 줄간격을 30㎝로하여 줄뿌림을 한다.

3. 방아풀의 성분, 약효 및 사용법

3-1. 방아풀의 성분

방아풀의 전초에 쓴맛 성분인 카우렌 계통의 디터피노이드 화합물인 엔마인(enmein : 이소도닌), 엔마인트리아세테이트(enmein-tri-acetate), 이소도카르핀, 노도신, 이소도트리신, 트리코도닌, 포니시딘, 에피노도신, 소도포닌, 에피노도시놀, 오리도닌, 에메노딘, 에메노핀, 엔메돌, 엔메롤, 이소도날(트리코도날) 등을 함유한다. 이전 문헌에 플렉토란틴(plectoranthin) 이라고 알려진 성분은 위 성분들의 혼합물이었다. 일본에서는 방아풀에서 쓴맛 성분의 연명소(enmein)를 분리하였는데 이 연명소는 항균 효과와 종양세포 억제 작용을 하며 복통과 소화불량을 치료한다.

3-2. 방아풀의 사용 부위와 약효

방아풀은 지상부 전초를 연명초(延命草)라 하여 약용한다. 연명초라는 이름은 죽어가는 환자를 살려 생명을 연장시켰다는 고사에 의해 붙여진 이름이다.

4. 방아풀의 성미, 귀경, 효능효과 주치(主治)

4-1. 성품과 맛-성미

방아풀의 성품은 차고(한寒), 맛은 쓰다(고苦).

4-2. 방아풀의 작용 부위-귀경

방아풀은 간(肝), 심(心), 비(脾) 경락에 작용한다.

4-3. 방아풀의 효능과 주치

방아풀은 통증을 멈추게 하는 진통(鎭痛), 위(胃)를 튼튼하게 하는 건위(健胃), 혈액을 맑게 하는 양혈(凉血), 독을 풀어주는 해독(解毒), 종기를 없애주는 소종(消腫), 열을 풀어주는 해열(解熱)과 항암(抗癌) 등의 효능이 있어서 소화불량(消化不良), 복통(腹痛), 타박상(打撲傷), 옹종(癰腫), 암종(癌腫: 식도, 간, 유방), 인후종통(咽喉腫痛), 뱀에 물린 상처 등에 응용할 수 있다.

5. 방아풀의 약용법과 주의사항 및 응용

5-1. 방아풀 사용법과 용량

말린 것으로 하루에 12∼24g을 사용하는데, 보통 15g의 약재에 물 1리터를 붓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하게 줄여서 200∼300㎖ 정도로 달여서 아침저녁으로 두 차례에 나누어 복용한다. 또는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하며, 종기 또는 뱀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는 생풀을 짓찧어 환부에 붙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사용하는데 쓴맛 때문에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여러 번 쓴맛을 우려낸 후 사용한다.

5-2. 방아풀의 사용상 주의사항

방아풀은 어떠한 병증에도 부작용이나 사용상의 금기는 없다. 다만 그 기원에 있어서 영남 지방에서는 추어탕이나 매운탕에 넣어서 즐겨 먹는 ‘방아잎’이라는 식물이 있는데, 이 방아잎은 식물 기원으로 볼 때 배초향이라는 식물로서 그 기원이 방아풀과는 같지 않다.(배초향 참조). ‘방아잎’은 ‘방애잎’으로도 발음하는데 이것은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 또는 곽향(Teucrium veronicoides Maxim.)의 지방 사투리다. 배초향은 씹어 보면 약간 쓴맛이 나면서도 강한 향기가 나는데, 본 방아풀은 강한 쓴맛이 나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5-3. 방아풀의 응용

방아풀은 어떤 종류의 위장질환에도 응용이 가능한 매우 폭넓은 약재이다. 단방으로도 활용하고 복방으로도 활용하는데, 특히 토사곽란, 복통 또는 오래된 식체로 인한 소화불량, 식욕부진 등에 응용할 수 있으며, 신선한 것을 생즙으로 복용하면 더욱 좋은 효과가 있다. 오래 복용하면 위암에도 효과가 있다.

6. 마무리

방아풀은 건위, 진통, 해열, 해독하고 소화불량과 복통, 타박상, 인후종통, 각종 암종을 치료하며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데도 유용한 민간약재이다. 한국의 공정서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인내(忍耐)라는 꽃말이 의미하듯이 민간약초로서 서민들의 질환을 다스리는 좋은 생활약초이다. 기원이 다른 배초향과는 구분하여 사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