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기(益氣), 보허(補虛)하고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며 완하(緩下)하는 효능과 신장을 보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식욕을 돋우고 살찌며 허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해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양고기에 대하여 그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 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양고기의 기원과 특성
양(羊)은 소과에 속하는 산양(Capra hircus L.) 또는 면양(Ovis aries L.)의 고기이다. 기원전 8000~6000년경에 서아시아에서 가축화가 시작되어 현재는 품종이 1000여 종에 이른다. 털(양모), 고기, 젖, 모피 등을 얻기 위하여 사육한다.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에는 산양이나 면양의 젖인 “양유(羊乳)”와 그 고기인 “양육(羊肉)”이 수재 되어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산양이나 면양의 췌장을 “양이(羊胰)”라고 수재하고 있다.
한국의 한의약 공정서에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는 영양(Gazella subgutturosa Guld.) 또는 고비영양(Saiga tatarica L.)을 기원으로 하는 영양각(羚羊角)이 수재 되어있을 뿐 산양이나 면양을 기원으로 하는 약재에 대한 기록은 없다.
2. 양고기의 성미, 귀경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맛은 달고 성질은 매우 덥고 독이 없다고 하였고, 『맹선(孟詵)』에는 성질이 따뜻하다고 하였다.
비, 신 경락으로 작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에는 대장, 위 경락으로 작용한다고 하였고, 『본초재신(本草再新)』에는 심, 비, 신 경락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3. 양고기의 주요 성분 및 영양적 특성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칼슘, 인, 철분, 비타민 B1과 B2 등을 함유한다.
4. 양고기의 효능·효과와 이용
양고기는 기(氣)를 더하고 허(虛) 한 것을 보(補)하며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고 완하(緩下)하는 효능이 있다. 신장을 보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원양을 따뜻하게 하고 기혈을 보하며 한기를 없애고 지혈 작용이 있다.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는 ‘식욕을 돋우고 살찌며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라고 하였으며 『일용본초(日用本草)』에는 ‘허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해지는 증상인 요슬리약(腰膝羸弱)을 치료하고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며 장위(腸胃)를 두껍게 한다.’라고 하였다.
5. 양고기의 주치와 응용
몸이 허약하고 추위를 잘 타는 사람, 몸이 여위는 증상,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 출산 후의 허랭(虛冷), 복통, 반위(反胃), 중허(中虛), 한산(寒疝) 등에 적합하고, 양고기는 폐의 면역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천식, 폐기종, 기관지염 등 폐기(肺氣)가 허약한 증상에 도움이 되며 위(胃)가 냉하여 복통 설사를 자주 하거나 배가 더부룩한 사람에게 효과가 있고 기혈부족으로 빈혈이 있거나 신(腎)의 양기가 허약하여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출산 후 모유가 적거나 빈혈 증상이 있을 때 효과가 있고 특히 겨울철 식품으로 적합하다.
6. 양고기와 배합하면 좋은 식약재
대산(大蒜:마늘)과 함께 지방을 제거하고 포를 만들어 함께 복용하면 음식을 먹고 소화를 시키지 못하고 넘기는 반위(反胃)를 치료하고,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는 조식야토(朝食夜吐)나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야식조토(夜食朝吐)에 효과적이다.
양고기에 가지를 배합하면 심혈관 질환에 좋고, 양파를 배합하면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셀러리를 배합하면 어린이 성장발육에 좋고, 생강을 배합하면 몸이 찰 때 더욱 효과를 발휘한다. 행인을 배합하면 폐를 따뜻하게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고, 달걀을 배합하면 영양소를 보충하여 체력이 약한 노인에게 좋으며, 술을 배합하면 속이 차서 복통이 있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
7. 양고기의 이용과 조리 사례
양고기, 키위, 카레, 삼백초, 청미래, 감초를 달인 물, 감자, 양파, 당근을 넣고 볶는 <양고기 카레>를 추천한다. 또 양고기 150g, 산약 120g, 육종용 100g, 토사자 15g, 호두인 15g, 대파 1 뿌리, 쌀 적당량을 넣고 탕을 끓인 <양고기사미탕>은 간(肝)과 신(腎)을 보하고 정기를 강하게 하며 요실금을 막고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양고기 다리 1개에 초과 5개, 대맥 100g을 넣고 양념하여 탕을 끓인 <양고기대맥탕>은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아래로 내리며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번갈을 멈추게 하며 냉기를 없애고 더부룩한 증상을 치료하며, 양의 다리고기 1개에 모과즙 1ℓ, 초과 5개, 완두 300g, 쌀 600g을 넣고 탕을 끓인 <양고기모과탕>은 허리와 무릎이 시고 아프며 각기병에 효과가 있다.
8. 양고기를 먹을 때 주의 사항
외감(外感: 감기)이 들었거나 숙열(熟熱)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피한다. 양고기는 열성이 강하고 식초도 술과 비슷한 성질이 있어 쉽게 화(火)를 만들고 혈을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심장 기능이 약한 사람이나 혈액병이 있는 사람은 식초와 배합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식초는 찬 성질의 음식과 어울리며 열을 내는 양고기와는 맞지 않다.
된장의 성미는 짜고 찬데, 양고기에 된장을 배합할 경우, 양고기는 열을 많이 내고 화(火)를 일으키므로 이 두 가지는 성능이 상반(相反)되어 맞지 않다.
메밀을 배합하면 메밀의 성질은 차고 혈압을 내리고 땀을 거두며 지혈 작용이 있다. 양고기와는 성질이 반대되어 맞지 않다. 또 단호박은 보중익기 작용이 강하고 양고기는 열성이면서 허증(虛症)을 보하는데 동시에 보하게 되면 위나 장에 기운이 뭉쳐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더부룩하면서 편하지 않다.
죽순에는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들어 있는데 양고기와 동시에 섭취하면 복잡한 생물화학 반응을 일으켜 복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며, 배(梨)와 배합하면 소화 장애가 일어날 수 있고 배가 더부룩하거나 아프고 내열이 퍼지지 않는다.
차(茶)와 배합하면 양고기의 풍부한 단백질과 차에 들어 있는 타닌 성분이 결합하여 타닌 단백질을 형성하는데 장으로 들어가서 수렴작용을 하여 장의 유동 작용을 감소시켜 변비가 생기거나 복통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고기를 먹고 난 후 2~3시간이 지난 다음에 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수박을 배합하면 양고기는 보기 작용이 있고 수박은 순기(順氣) 작용이 있어 동시에 섭취하면 배가 더부룩하고 복통 설사를 하거나 원기가 상한다.
양 간과 죽순을 배합하면 비타민 A가 파괴되고 양 간과 토마토를 배합하면 영양소의 효능을 잃게 되며, 양 간과 완두콩을 배합하면 영양소의 효능을 잃게 된다. 또 양의 위(胃)와 매실을 배합하면 열을 뭉치게 하여 건강에 좋지 않고, 양의 위(胃)와 팥을 배합하면 팥에 들어 있는 사포닌이 소화기 점막을 자극하고 또한 국부에 충혈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양 위(胃)의 효능과 상극되어 수종이나 복통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9. 마무리
양고기(羊肉)는 기본적으로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소화력과 신(腎) 기능을 보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양젖 또한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사람의 젖과 가장 가까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귀하게 사용되었다. 양의 췌장은 인슐린을 추출하는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오래된 기침이나 여성들의 대하를 치료한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소리고기 [환육(䝔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1) | 2025.04.14 |
---|---|
오리고기 [압육(鴨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0) | 2025.04.12 |
소고기 [우육(牛肉)]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4) | 2025.04.08 |
사슴 [녹(鹿)]의 기원과 특성, 성분 약효 및 이용법 (1) | 2025.04.06 |
비둘기 [합(鴿), 구(鳩)]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1)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