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무릎은 뿌리를 약용과 식용하는 약재이자 식품이다. 관절통증을 다스리고 이뇨작용과 부인병에 효과가 뛰어나 예로부터 민간약으로도 애용하던 약이자 건강식품이다. 쇠무릎의 생육 특성과 재배기술, 채취 및 가공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쇠무릎의 생육 특성
쇠무릎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여러해살이 풀로 대한민국약전에 『우슬』로 수록되어 있다. 원줄기는 키가 50∼150㎝, 굵기는 7㎜ 정도이며 네모지고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데 마디 부위가 특별히 굵어서 소의 무릎처럼 생겨서 쇠무릎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줄기는 붉은빛을 띠는 녹색이며 부드러운 백색의 잔털이 있다. 마디에는 잎이 마주나고 잎 겨드랑이에서 가지가 발생한다. 잎은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형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담녹색이며 줄기 가운데 잎이 상부의 잎보다 훨씬 크고, 잎끝은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녹색으로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 이삭 모양(穗狀花序)으로 피는데 양성화로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포과(胞果)로 광택이 있고 긴 타원형이며 9∼10월에 맺는데 꽃받침에 둘러 싸여있다. 종자의 크기는 2×1㎜ 정도이고 종자 1,000알의 무게 즉 천립중(千粒重)은 2.3g정도 된다. 열매는 잘 떨어져 옷이나 동물의 털에 달라붙어 이동을 한다. "애교"라는 꽃말은 그래서 붙여진 것인 듯 하다. 뿌리는 가늘고 길며 지름이 1∼3㎜ 정도로 외피는 황갈색이고 횡단면의 속살은 황백색이다.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회우슬(A. bidentata BL.)은 한국의 털쇠무릎과 같은 기원식물이며, 가지 끝에 꽃이 복취산화서로 여러 개 모여 공 모양을 이루는 천우슬(川牛膝 ; Cyathula officinales Kuan)과 잎이 피침형이고 잎의 뒷면이 자홍색을 띠는 산우슬(A. longifolia Makino)도 모두 우슬(牛膝)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화우슬(A. fauriei Leveille et Vaniot)의 뿌리를 사용한다. 한국의 전역에 분포하며 전라남도 화순 등지에서 대규모로 재배를 한다. 쇠무릎은 산야에서 잘 자라고, 당우슬은 남서부 섬 지방에, 붉은쇠무릎은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지역에 따라서 쇠무릎지기, 쇠물팍나물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2. 쇠무릎의 채취, 가공 및 재배 기술
2-1. 쇠무릎의 채취 및 가공
가을에서 이듬해 봄 사이에 경엽(莖葉: 줄기와 잎)이 마른 뒤 채취하되 잔털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말린다. 늦가을 지상부 줄기와 잎이 고사하면 수확한다. 먼저 줄기를 베어내고 다목적 굴취기를 이용하여 뿌리가 끊어지지 않게 캐낸 다음 흙을 털고 물에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부러지지 않을 정도 꼬들꼬들하게 마르면 뿌리를 곧게 펴고 끝을 보기 좋게 구부려 완전히 건조한 다음, 단으로 만들어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중국의 재배법을 보면 수확 후 햇볕에 말린 다음 유황을 몇 차례 쏘이고 끝을 잘라 가지런히 해서 다시 볕에 말린다고 하였는데, 유황찜을 하면 발암물질인 이산화황(SO₂)이 침착되기 때문에 절대로 해서는 안된다.
2-2. 쇠무릎의 재배기술
① 쇠무릎의 재배환경
쇠무릎은 비교적 온화하고 습윤한 기후를 좋아하는 식물로 생육적온이 18∼20℃ 정도이다. 특히 기온이 30℃ 이상이 되면 생장을 멈추고, 5℃ 이하로 떨어지면 휴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한반도 중남부의 비교적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번 심으면 그 자리에서 4∼5년 동안 재배하고, 물 빠짐이 좋지 않으면 뿌리가 썩고, 수분이 부족하면 잎끝이 말라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유기물이 풍부하고 보습이 잘 되면서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가 적당하다. 진흙땅에서는 뿌리 뻗음이 좋지 않고 수확 후 흙을 제거하는데도 많은 노력이 들어간다.
② 품종과 번식방법
②-1 품종
농촌진흥청 및 시험연구기관에서 육성하여 보급하는 품종은 없고 각 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채취하여 재배하며, 농가에서 재배하는 식물에서 자가채종하여 번식에 이용하고 있다.
②-2 번식방법
쇠무릎의 번식방법은 주로 종자파종법과 분주법(分株法)이 있으나 농가에서는 주로 종자파종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파종시기는 봄 파종과 가을 파종이 있는데 서리 피해를 입지 않도록 지역에 따라 시기를 조절한다. 봄 파종은 보통 남부지역에서는 3월 중∼하순, 중부지역에서는 4월 중∼하순이 적기이며, 가을 파종은 9∼10월에 한다. 종자가 단단하고 껍질에 발아억제물질이 있으므로 종자를 하루나 이틀 정도 흐르는 물에 담가 두었다가 건저 내어 4℃에서 15일간 저온 냉장처리를 한 후 파종한다. 밭은 밑거름을 충분히 준 다음 깊이갈이를 하고 두둑을 만드는데 산성토양을 싫어하므로 토양검정을 실시하여 산성토양에는 밑거름을 줄 때 석회를 함께 전층시비하고 두둑을 너비 90∼120㎝, 높이 15∼20㎝로 하고 20㎝ 간격으로 골을 판 다음 줄뿌림을 하거나 점파기를 이용하여 점파를 한 뒤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얕게 덮어주고 위에 볏짚을 덮어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면 좋다. 파종량은 10a당 1∼2㎏ 정도이고, 산파할 때는 평방미터당 30g이 소요된다.
분주법은 재배 후 2∼3년이 지나면 뿌리가 지나치게 번성하여 호흡도 어려워지고, 영양성분의 흡수도 어렵기 때문에 포기를 캐내서 적당하게 뿌리를 다듬고 포기를 나누어 다시 심는 방법인데, 기존의 밭에서 묘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분주를 할 때 토양을 갈아엎어 통기성을 좋게 하고 퇴비를 충분히 주어 토양의 영양성분과 물리성을 동시에 개량하는 효과가 있어서 많이 권장하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쇠무릎 재배를 위한 전용 유공비닐이 나와서 밭갈이 후 두둑을 만들고 덮어주면 초기 토양온도를 높이고 잡초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농가의 반응이 좋다. 1 구멍당 2본 정도가 되도록 솎아주면 좋다.
②-3 관리
쇠무릎은 물관리와 김매기, 웃거름 주기가 중요하다. 쇠무릎을 한 곳에서 다년간 재배할 경우 토양이 단단해 지므로 수시로 김매기를 하여 통기성을 좋게 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쇠무릎은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수분은 뿌리와 식물체를 썩게 하고, 건조하면 생육에 부실하기 때문에 사질양토에 유기물을 듬뿍 주어 보습력과 배수를 용이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당한 토양수분은 70∼80% 정도이다. 웃거름은 한꺼번에 많은 양을 주는 것보다 몇 차례에 나누어 주는 것이 좋고, 봄과 가을에 질소질 비료를 주어서 생육을 돕고, 수확 작업을 한 후에는 새순의 생육을 돕기 위해서 복합비료나 액비(液肥)를 웃거름으로 준다. 싹이 튼 뒤에는 아주 밀식된 곳이 아니면 솎아주지 말고 조금 베게 키우는 것이 좋다. 포기사이가 너무 넓으면 가지를 많이 치고, 뿌리도 옆으로 뻗어 상품성이 떨어진다. 또한 꽃이 피고 열매가 맺게 되면 뿌리로 갈 영양분을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종자 채종을 할 것만 남기고 순 지르기를 해주는데, 보통 7월 중순에 30㎝ 정도를 남기고 1차 순 지르기를 하며, 8월 하순에는 40㎝ 정도만 남기고 재차 순 지르기를 하여 뿌리의 발육을 돕고 지상부의 쓰러짐을 방지한다.
②-4 병해충 관리
쇠무릎은 생육이 왕성하여 병해충 피해는 거의 없으나 병해로는 갈색점무늬병, 탄저병, 흰가루병 등이 있고, 해충으로는 거세미나방, 진딧물, 응애, 파밤나방 등이 있다. 생육초기에 거세미나방 구제를 잘 해주면 큰 피해는 없다.
3. 마무리
쇠무릎은 이뇨(利尿), 통경(通經), 강정(强精)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허리와 무릎의 관절통을 다스리며, 간과 신장을 보하는 뛰어난 효능 때문에 예로부터 민간에서도 애용하던 건강식품이자 약재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쇠무릎의 생육특성과 재배기술, 및 채취 및 가공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생활약초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2. (3) 쇠무릎(牛膝)의 응용과 술 담그기 및 음용법 (0) | 2023.11.27 |
---|---|
#1-81. (2) 쇠무릎(牛膝)의 성분약효, 성미귀경, 이용법과 주의사항 (0) | 2023.11.24 |
#1-79. 쇠뜨기(問荊)의 특성과 성분 약효 이용법 (0) | 2023.11.20 |
#1-78. (2) 속새(목적)의 성분 약효 및 이용법과 주의사항 (0) | 2023.11.18 |
#1-77. (1)속새(木賊)의 특성과 재배기술 (0) | 2023.11.16 |